
총 36개
-
CBD cancer 케이스2024.11.251. 총담관암 (CBD cancer) 1.1. 정상 생리 1.1.1. 위치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이다. 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은 간 내부에서 소관을 거쳐 모여 간 내담관을 형성하고, 이 간 내담관들이 합쳐져 간 바깥으로 나가는 총간관이 된다. 총간관은 다시 쓸개에서 나오는 담낭관과 연결되어 총담관(쓸개관)을 이룬다. 이렇게 형성된 총담관은 십이지장의 유두부와 연결되어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1.1.2. 형태 및 구조 담관은 간세포에서 생성된 담즙이 간 내부에...2024.11.25
-
담관암 케이스2025.02.211. 서론 담관암 또는 담도암은 담즙을 만들어내는 담관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담관은 간에서 나오는 총간관과 담낭에서 나오는 담낭관이 합쳐져 십이지장으로 이어지는 관으로, 이 통로에서 암이 발생하게 된다. 담관암은 간내담관암과 간외담관암으로 구분되며, 발생 부위에 따라 상부, 중부, 하부 담관암으로 나눌 수 있다. 담관암은 다른 암종에 비해 발생 빈도가 높지 않지만 조기 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담관암의 정의와 발생 기전, 원인 및 위험 요인, 임상 증상,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등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2025.02.21
-
담관암 케이스2025.02.211. 서론 담관암은 간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옮기는 담관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담관암은 간 내부와 외부에 걸쳐 발생할 수 있으며, 간 내부에 발생하는 경우 간암에 속하고 간 외부에 발생하는 경우 독립적인 암종으로 분류된다. 담관암의 발생 위치에 따라 간내담관암과 간외담관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담관암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담석증, 간흡충증, 담관 낭종 등의 선천성 기형, 궤양성 대장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선천성 간섬유증 등이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담도계에 노출되는 화...2025.02.21
-
담관암 케이스2025.02.211. 서론 담관암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인 담관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담관암은 간내 담관암과 간외 담관암으로 나뉘며, 세포 모양에는 차이가 없으나 간내 담관암은 해부학적으로 간암에 속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담관암의 위험인자로는 담관 정체, 만성 염증, 만성 감염 또는 발암물질 노출 등이 있으나, 특별한 선행 위험인자를 찾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특히 고연령의 담관암의 경우 대부분 위험인자를 발견하기 어렵다. 이 외에도 간흡충증과 같은 만성 간담관 내 기생충 감염, 담관 확장을 동반한 선천성 기형, 원발성 ...2025.02.21
-
담낭암 케이스2024.10.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담낭암의 경우 해부학적 특성상 담낭 주위의 담관이나 간조직으로 잘 퍼져 나가며, 림프 시스템을 따라서 간 부위의 림프절을 침범하기도 한다. 점점 암세포가 퍼지는 경우는 복부의 어느 림프절이나 장기로도 전이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질병이며, 임상적으로 복부의 RUQ 통증, 황달이외에 체중감소, 식욕부진, 오심 등의 전신증세를 나타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발병률이 낮은 편이나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며, 증세가 나타났을 때에는 이미 진행이 되어 있어서 수술하여도 예후가 극히 나빠 5년 평...2024.10.16
-
Cholangiocarcinoma2024.08.161. 서론 1.1. 담관암의 정의와 특성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으로, 크게 간내 담관과 간외 담관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담관암에는 간내 담관암과 간외 담관암이 있다. 세포 모양에는 차이가 없으나 간내 담관암의 경우 해부학적으로 간암에 속한다. 담관암은 대부분 선암종이며, 조직학적으로는 악성 종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담관암은 황달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체중감소, 소화장애, 경한 상복부 통증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담관암의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담관 정체, 만성 염증, 만성 감염...2024.08.16
-
담낭암 케이스2024.08.261. 서론 1.1. 담낭암의 개요 담낭암은 담낭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담낭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점차 하부로 진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담낭은 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간담관과 연결되어 있어 담즙 배출의 주요 통로 역할을 한다. 담낭암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전체 위장관암의 약 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진행이 빨라 조기 발견이 어려우며, 진단 당시 이미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5년 생존율이 매우 낮은 편이며, 평균 생존 기간도 6개월 내외에 불과하다. 담낭암...2024.08.26
-
담관암 케이스2025.03.111. 서론 담관암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담관에 발생하는 암이다. 담관암은 간내 담관암과 간외 담관암으로 구분되며, 세포 형태는 차이가 없지만 간내 담관암은 간암에 속한다. 담관암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특히 고령의 환자에서 위험인자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담관암의 주요 위험인자로는 만성 간담관 내 기생충 감염, 선천성 기형, 만성 염증성 질환 등이 알려져 있다. 담관암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려우며, 대부분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췌장암이나 간암 등과 혼동되는 경우...2025.03.11
-
종양지표2024.09.081. 암환자의 기본 혈액검사와 종양표지자 1.1. 암환자의 기본 혈액검사 종류와 정상수치 암환자의 기본 혈액검사 종류와 정상수치는 다음과 같다. 헤모글로빈(Hb)은 적혈구 중의 철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산소의 운반을 담당하며, 정상범위는 12.0 ~ 16.0이다. 헤마토크리트(Hct)는 전혈액 중에 차지하는 적혈구 용적을 %로 표시한 것으로 정상범위는 37.0% ~ 47.0%이다. 적혈구수(RBC Count)의 정상범위는 4.0 ~ 5.4이다. 백혈구수(WBC Count)의 정상범위는 4.0 ~ 10.0이며, 혈소판수(Platel...2024.09.08
-
종양지표2024.09.09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Oral cavity)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이다. 구강(Oral cavity) 안의 구조로는 미각수용체, 28개의 치아와 2개의 사랑니, 구강상부의 연구개(soft palate)와 경구개(hard palate), 구강바닥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sublingual gland), 악하선(submandibular gland), 이하선(parotid gland)이 있다. 침(타액)은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으로 하루 1,000~1,500ml가 분비되며, pH...202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