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축산식품미생물학2024.09.291. 미생물의 역사와 발전 1.1. 미생물의 발견 미생물의 발견은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명체들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안토니 반 레벤후크(Antoni van Leeuwenhoek)는 현미경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처음으로 미생물을 관찰하였다. 그는 치아의 스케일링 과정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작은 생물체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미생물의 존재를 주장하였다. 이로써 미생물이라는 새로운 ...2024.09.29
-
서강대학교 일반생물학 Plasmid DNA 제한효소 절단2024.12.011. 플라스미드 DNA 1.1. 플라스미드 DNA 개요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 또는 일부 유핵생물에 존재하는 DNA 분자로, 염색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자가복제가 가능한 작은 원형 DNA 분자이다. 플라스미드는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염색체 DNA와는 별개의 유전체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 증식 및 대사에 필수적이지 않지만 항생제 내성 유전자나 특정 물질 분해 유전자 등을 가지고 있어 숙주 생명체에 유익한 역할을 한다.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 세포 내에서 다수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심 유전자를 증폭하여 얻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2024.12.01
-
LB배지의 구성물질과 각각의 역할2025.04.091. LB배지의 구성과 역할 1.1. 배지의 정의와 중요성 생명체가 성장, 증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필요하다. 이러한 영양분을 섞어 인위적으로 만든 혼합물을 배지(culture medium)라고 한다. 생명체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영양분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에 맞는 적절한 배지를 만들어야 한다. 배지는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을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다시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이다. 생물은 생존 발육에 필수인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로서 다량 혹은 미량이 필...2025.04.09
-
유전공학의 이해2025.06.021. 유전공학의 개요 1.1. 유전공학의 정의와 역사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이란 DNA 또는 다른 핵산의 변형 및 재조합과 같은 인위적인 조작을 통하여 생명체의 유전물질(유전자)을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유전공학은 단순히 재조합 DNA 기술뿐만 아니라 선택적 육종과 인위적인 선별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1927년 멀러(J. Muller)가 초파리에 X-선을 쪼여 돌연변이를 일으킨 실험은 생명체의 유전물질을 변형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멀러의 실험은 특이성을 조절할 수 없는 무작위 돌연...202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