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개
-
강옥미2024.09.211. 한국어 초분절음 교육 방안 1.1. 음의 장단에 따른 뜻의 구분 음의 장단에 따른 뜻의 구분은 하나의 소리를 내는 데 걸리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초분절음이다. 음운적으로 볼 때는 모음에 얹혀서 실현되며 음장이라고도 일컫는다. 한국어에서의 장단은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데 쓰이며, 현재 표준 발음법에서 운소로 인정하고 있다. 장모음은 어두 음절에만 올 수 있으며,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 표현적 장음이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묻다"와 "묻ː다"를 비교해 보면 "묻다"는 무엇을 알아내기 위하여 상대편의 설명이나 대답을 요구...2024.09.21
-
자음과모음의특징을설명하고2024.09.221. 자음과 모음의 특징 1.1. 자음의 특징 1.1.1. 발음 방법과 소리의 특징 자음의 발음 방법과 소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음은 입술, 혀, 목과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발음된다. 자음의 발음 방법은 조음 기관의 장애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파열음은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트리며 소리를 내는 방식이고, 마찰음은 공기의 통로를 좁혀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내는 방식이다. 또한 파찰음은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서서히 터트리며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방식이다. 유음과 비음은 공명음에 해당하는데, 유음은 혀끝을 윗잇몸에...2024.09.22
-
비음 유음 장애음 마찰음의 발음교육방안과 활동유형2024.10.011. 한국어 자모의 소리 나는 방식과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1.1. 한국어 자음의 체계 1.1.1. 자음과 모음의 특성 자음과 모음은 사람들의 언어 생활에 사용되는 소리로, 낱말의 뜻을 구별하는 음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음은 공기가 폐에서부터 입 밖으로 나올 때 장애를 받는 소리인 반면, 모음은 공기가 폐로부터 나와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로 음성적인 면에서 공기의 흐름에 장애 유무의 차이가 있다"". 모음은 독립적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는 반면 자음은 독립적으로 음절을 구성할 수 없다"". 모음은 자음 없이 ...2024.10.01
-
모음 사각도2024.10.071. 모음 사각도와 모음 체계 1.1. 모음의 이해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비교적 자유로운 상태에서 발음되는 소리이다. 언어 교육에서 모음 교육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모음이 언어의 음운 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교육은 필수적인데, 이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표준 발음 그대로 21개의 모음을 발음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해서는 모음 교육에 유의해야 한다. 모음은 혀의 높낮이와 전후 위치, 입술의 모양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한국어의 모음은...2024.10.07
-
얇은 ㅁ가2024.10.081.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1.1.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발음 교육 한국어의 모음은 크게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모음은 모음 발음 시 발음의 시작부터 끝까지 입 모양이 변하지 않는 모음이며, 이중모음은 모음 발음 시 시작과 끝의 입 모양이 달라지는 모음이다.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한국어의 단모음은 총 10개로, '이, 에, 애, 위, 외, 으, 어, 아, 우, 오'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외'와 '위'의 경우 대부분의 한국어 화자들이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실질적인 단모음의 개수는 8개라고...2024.10.08
-
실제 발화에서 한국어 화자의 단모음 사용 양상을 관찰해 보고 학습 내용과 비교하여 보고, 이를 한국어 학습자에게 설명할 방법을 토론해 봅시다2024.10.071. 서론 언어란 뜻과 소리로 이루어진 기호로서 기본적으로 언어는 음성 언어를 기본으로 한다. 언어의 특성에는 기호성, 사회성, 역사성, 자의성, 법칙성, 분절성, 창조성 등이 있으며 음성이라는 형식으로 내용을 전달한다는 기호성, 사회적 약속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어(死語)가 되는 경우도 존재하고 새로 만들어지기도 하며 개별 언어는 각각의 약속을 가짐으로서 자의성도 갖는다. 또한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언어의 규칙인 문법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이를 법칙성이라고 한다. 언어는 사물의 경계를 표현한다고 하여 ...2024.10.07
-
한국어 자모제시순서2024.10.011. 자모 제시 순서 고찰 1.1. 기존 교재의 자모 제시 순서 1.1.1. 국립국제교육원(2011), 맞춤 한국어1 맞춤 한국어1에서 제시한 자모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모음의 경우 단모음 ㅏ[a], ㅓ[eo], ㅗ[o], ㅜ[u], ㅡ[eu], ㅣ[i]를 먼저 제시하고 이어서 이중모음 ㅑ[ya], ㅕ[yeo], ㅛ[yo], ㅠ[yu]를 제시하고 있다"" 발음기호를 함께 제시하여 학습자가 직접 소리 내어 읽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자음의 경우 ㄱ[g/k], ㄴ[n], ㄷ[d/t], ㄹ[l/r], ㅁ[m], ㅂ[b/p...2024.10.01
-
활음2024.11.051. 서론 활음은 자음, 모음과 같은 분절음 중의 하나이다. 공기 흐름에 장애를 많이 받는 자음과 달리 장애를 크게 받지 않으면서, 그 자체로 음절을 이루는 모음과 달리 홀로 음절을 이룰 수도 없다. 한국어교육에서는 활음이 매우 중요한 음운 현상 중에 하나이다. 구어 상황에서 활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과제에서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의 일상 언어에서 어떠한 활음의 음운 현상이 살펴보고자 한다. 2. 활음의 정의와 특징 활음은 "조음기관이 한 말소리를 생성해 내기 위한 위치에서 다른 말소리의 ...2024.11.05
-
구개음화2024.10.101. 구개음화 1.1. 구개음화의 정의와 특성 구개음화는 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ㅣ'모음이나 반모음'[j]'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함께 쓰이면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그러나 이는 협의적인 정의로, 원래 구개음화는 경구개음이 아닌 자음이 특정 조건 아래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가리킨다"" 즉, 국어사에서의 구개음화는 모음 i, y 앞에서 'ㄷ, ㅌ, ㄸ'이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이외에도 'ㄱ, ㅋ, ㄲ'이 모음 i, y 앞에서 'ㅈ, ㅊ, ㅉ'이 되는 현상, 'ㅎ'이 모음 i, y 앞...2024.10.10
-
영어발달사2024.10.191. 영어의 발달사 1.1. 올드 잉글리시(Old English) 1.1.1. 특징 올드 잉글리시(Old English)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올드 잉글리시는 약 5세기에서 11세기 사이에 사용되었던 영어의 초기 형태이다. 이 시기의 영어는 현대 영어와 매우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지고 있어 현대인들이 읽거나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몇몇 텍스트와 문학 작품들이 남아있어 이 시기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할 수 있게 되었다. 올드 잉글리시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명사, 대명사, 동사 등의 성, 수, 격에 따른 변화이다. 명사의 성에...2024.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