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항생제 내성균 관리 및 감염병 종류2024.10.281. 항생제 내성균(다제 내성균, 슈퍼 박테리아) 1.1. 항생제 내성균이란 1.1.1. 항생제 내성균의 정의 항생제 내성균이란 강력한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박테리아를 말한다.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병원균이 항생제에 스스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기르게 되어 점점 더 내성이 강해지고, 이로 인해 더 강력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된다. 그 결과 어떤 강력한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생겨나게 되는데, 이를 항생제 내성균이라고 한다. 1.1.2. 항생제 내성균의 사례 항생제 내성균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2024.10.28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2024.11.261. 약물내성과 전염병 1.1. 약물내성 1.1.1. 약물내성이란? 약물내성이란 약물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어서 동일한 약효를 얻기 위해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약물의 흡수와 대사가 변하는 경우나 생체 세포의 저항성이 증대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는 약물의 장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환자의 체내에서 약물에 견딜 수 있는 미생물이 선별적으로 자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약물에 대한 내성을 가진 미생물은 해당 약물을 분해하거나 약물이 작용하는 부위를 변형시킴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무력화시킨다. 이처럼 약물내성은...2024.11.26
-
다제내성 원내감염균2025.03.251. 다제내성 원내감염균의 정의와 특성 다제내성균이란 세 가지 계열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세균이다. 이러한 세균은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 지정된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카바페넴 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다제내성 녹농균(MRPA),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등 6가지가 있다. 이들 다제내성균은 병원 환경에서 주로 문제가 되며, 항생제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