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동북아국제안보2024.09.151. 동북아 안보 구조와 북핵 문제 1.1. 동북아 안보 구조: 탈냉전의 선택적 투과와 접합 지역적 차원에서의 안보 구조는 세계적 차원에서의 안보 구조에 맥락을 같이 한다. 세계적 차원의 안보 구조는 탈냉전이다. 국지적 차원 특히 반도적 차원에서 '냉전의 외딴 섬' 같은 주장도 가능하지만, 전반적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변화를 본다면 탈냉전적 성격이 농후하다. 탈냉전은 '제3의 민주화' 물결에서 기인한 것이지만, 직접적으로는 공산 진영의 붕괴에서 비롯되었다. 소련 및 동구 공산권의 붕괴는 북한을 둘러싼 전통적인 안보적 측면에서의 북방...2024.09.15
-
국제 분쟁의 이해:이론과 역사2024.12.301. 민주주의와 전쟁 1.1. 민주평화론의 배경과 주요 내용 임마누엘 칸트의 저서 『영구평화를 위하여』(1795)는 민주평화론의 원류라고 할 수 있다. 칸트는 모든 국가들이 공화제 정부를 채택하고 그들 간의 연방을 통한 영구평화 수립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후 민주평화론은 전쟁 관련 데이터와 민주주의 측정 관련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토대로 한 경험적 발견들에 근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816년부터 1991년 사이에 발생한 1,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전쟁 353건 중 민주주의 국가 간 전쟁은 단 한 건도 없었다...202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