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성경에 나타난 찬양2024.09.171. 시편(詩篇) 1.1. 시편의 명칭 시편의 명칭은 히브리어 "세페르 테힐림(??? ?????=찬양들의 책)"또는 "테힐림 ( ?????=찬양들)"이다. 이것은 "비블로 프살몬: β?βλ? Ψαλμω?ν=시편의 책"이라 한 신약의 명칭과 일치한다. 헬라 사본들에는 프살테리온(Ψαλτ?ριον=현악기, 노래들의 수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프살모이(Ψαλμο?)로 되어 있다. 벌게이트 역은 LXX를 따라 리베르 프살모룸(Liber Psalmorum)으로 되었으며 이에서 영어 명칭(Psalms)이 유래했다. 리베르 프살모룸(...2024.09.17
-
시편 3편2024.09.191. 시편 3편 해석 1.1. 유형분석 1.1.1. 탄원시 개요 탄원시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탄원시의 거의 대부분은 그 결론부에서 이전의 절박한 고난의 위기 분위기를 급반전시켜 야훼 하나님에 대한 의지의 표현이나 기도가 야훼 하나님께 가납되어 그 탄원이 응답되었다는 확신의 표현으로 전환된다. 탄원시는 죽은 자를 위하여 애곡하는 만가와는 달리, 현재 살아 있는 자로서 그 현재적 고통 때문에 괴로워 울부짖으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기도]하는 시이다. 탄원시를 다른 시 양식에서 구분해 낼 수 있는 강조의 특징은 간략한 호소구, ...2024.09.19
-
마태복음 2장2024.09.181. 예수님의 베들레헴 탄생과 그 의의 1.1. 동방박사들의 방문과 깨달음 1.1.1. 동방박사의 정체 동방박사의 정체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마태복음은 그들을 "동방으로부터 온 박사들"로 소개하고 있다. 동방에서 온 박사들은 당시 지식인들이자 현자들로 여겨졌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천문학과 점성술에 능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태는 구체적으로 그들이 어느 나라에서 왔는지 언급하지 않지만, 전통적으로 아라비아,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등에서 왔다고 추정되어 왔다. 이들은 특별한 별을 보고 그것이 유대인의 왕으로 ...2024.09.18
-
죽었으나 말하는 언약도2024.10.011. 성경의 언약 관계 1.1. 구약과 신약의 관계 구약과 신약의 관계는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 있어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약은 신약을 예비하고 있으며, 신약은 구약의 약속들을 성취한다. 구약과 신약은 하나의 일관된 큰 흐름 속에 있는데, 이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하게 성취되고 표현된 언약이다. 옛 언약은 은혜의 언약에 의해 대치된 것이 아니라 그것에 의해 성취되었다. 옛 언약에 표현되었던 모든 것들이 새 언약에서 구현된다. 더욱이 옛 언약은 그리스도의 새 언약에서 그 최고의 의미를 발견한다. 그 새 언약은 인간을...2024.10.01
-
다윗과시편의 하나님나라2024.10.151. 시편에 대한 개요 1.1. 시편의 명칭 시편(Psalms)은 히브리어로 '테힐림(????? )'이며 그 의미는 "찬양의 노래들"이라는 뜻이다. 히브리 성경의 헬라어 역본인 70인역(?ⅩⅩ)이나 바티칸 사본(Codex Vaticanus, B) 등은 '현악기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란 뜻으로 시편에서 모두 57회나 사용된 히브리어 '미즈모르'의 헬라어 복수 형태인 '프살모이'란 제목을 사용하였고, 또 알렉산드리아 사본(Codex Alexandria, A)은 '프살테리온'이란 제목을 사용하였다. 영어성경의 'Psalms'나 개역성경...2024.10.15
-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 성경해석학2024.08.231. 서론 1.1. 성경의 역사적 접근과 신앙적 접근 성경의 역사적 접근과 신앙적 접근은 성경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관점이다. 역사적 접근은 성경을 하나의 문헌으로 보고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반면에 신앙적 접근은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와 섭리가 담긴 거룩한 본성으로 보고 신앙의 눈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역사적 접근은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한다. 성경은 단순한 신화가 아니며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사학, 고고학, 문헌학 등의 학문을 통해 성...2024.08.23
-
하나님은옛언약의율법을대신하여어떤은혜를주셨나2024.10.141. 은혜의 언약 1.1. 구약에 나타난 은혜의 언약 1.1.1. 원복음 창세기 3장 15절에 나오는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는 구절은 성경에서 복음에 대한 최초의 암시인 "원복음"을 담고 있다"".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과 더 이상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지만, 하나님은 여자의 후손을 통해 인간을 구원하시겠다는 약속을 하셨다. 이 약속은 나중에 아브라함과의 언약, 모세와의 언약...2024.10.14
-
시편91편의 해석2024.11.021. 시편 19편 5-9절 주석 1.1. 서론 시편 19편은, 신(神) 중심적 성격을 띤 시편 시문학의 "새로운 유형의 신(神) 계시(啓示)"를 노래하는 시(詩)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 동안 안고 온 비평학적 문제는, 서로 다른 시의 징후들을 가지고 있는 1-6[2-7]절과 7-14[8-15]절을, 다른 두 편의 시(시 19A, 시 19B)로 볼 것인지, 하나로 잘 융합된 시로 볼 것인지를 해결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 케인(Cheyne)과 엘리히(Ehrlich)는 이 시 19편을 "하나의 문학 단위로"(a lit...2024.11.02
-
다윗: 현실에 뿌리박은 영성2024.11.141. 다윗 이야기의 세부 주제 1.1. 현실에 뿌리박은 영성 다윗 이야기는 현세를 사는 영성을 회복시키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다윗의 이야기는 진정 정열로 들끓는 이야기로, 현세를 사는 영성이 그의 삶의 특징이며 그러한 정열의 이유이기 때문이다. 다윗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온전하고 충만한 삶이란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 삶이라는 것을 배운다. 다윗은 하나님과의 대면이 그의 전 생애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다윗은 평범한 사람이었지만,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거룩한 삶을 살아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단순...2024.11.14
-
시편 72편2024.08.311. 시편의 개요 1.1. 시편의 명칭 시편의 히브리 명칭은 "세페르 테힐림(??? ?????=찬양들의 책)" 또는 단순히 "테힐림 ( ?????=찬양들)"이다. 이것은 "비블로 프살몬: β?βλ? Ψαλμω?ν=시편의 책"이라 한 신약의 명칭과 일치한다.(눅20:42; 행1:20) 헬라 사본들에는 프살테리온(Ψαλτ?ριον=현악기, 노래들의 수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체로 프살모이(Ψαλμο?)로 되어 있다. 벌게이트 역은 LXX를 따라 리베르 프살모룸(Liber Psalmorum)으로 되었으며 이에서 영어 명칭(Psalm...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