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인류의 진화와 생명의 다양성2024.09.121. 종의 기원과 진화론 1.1.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은 1859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13년 동안 많은 부분이 첨삭되고 챕터가 통째로 사라지는 등의 변화를 겪으며 개정되었다. 이 책은 기독교에서 주장하는 창조론에 반박하는 진화론을 주장하며, 당시 인간 시초의 정의와 창조론의 기반을 흔들어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다윈은 종에 대해 당대 통념이었던 우수한 종끼리 교배시켜 더 좋은 종을 만든다는 단순한 개념을 넘어, 아주 기본적이고 심화적인 내용까지 깊이 있게 다루었다. 그 결과 많은 과학의 길을 열어줄...2024.09.12
-
우생론과 진화론을 보고 느낀점2024.09.251. 다윈과 마르크스 - 다윈의 진화설의 마르크스의 평가와 새로운 사회생물학의 정립 1.1. 서 론 1883년 런던 하이에이트(Highate) 공동묘지에서 행한 마르크스(Karl Marx)의 장례식에서 엥겔스(F. Engels)는 다음과 같이 연설하였다. "다윈(C. Darwin)이 유기체의 발전법칙을 발견했듯이, 마르크스는 인간사회의 발전법칙을 발견하였다."(Colp, 1974: 337) 이 연설은 이후 다윈과 마르크스 사이의 이론적 유사성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 다윈과 마르크스 사이에 얼마나 이...2024.09.25
-
찰스 로버트 다윈의 진화론2024.10.211. 다윈의 『종의 기원』과 진화론 1.1. 진화론 이전의 생물학 인식 진화론 이전의 생물학 인식은 주로 신의 창조설에 기반하고 있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생물체가 변하지 않은 '이데아', 즉 본질을 갖고 현실 세계에 모방된 개체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후 그리스도교의 창조론이 대두되면서 생명의 근원에 대한 가설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17세기 학자 존 레이는 자연의 복잡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그리스도교의 창조주를 현명하고 전능한 자연의 설계자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창조론적 관점은 찰스 라이엘과 같은 동시대의 지...2024.10.21
-
핀치의 부리 독후감2024.10.221. 진화론의 발견 1.1. 다윈의 핀치 관찰 다윈이 갈라파고스 군도의 핀치를 관찰하면서 진화론의 단초를 발견하게 되었다. 다윈은 비글호 항해 도중 갈라파고스에서 서식하는 13종의 핀치에 주목하였다. 핀치들은 섬마다 서로 다른 모양의 부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섬마다 핀치들이 다른 환경에 적응한 결과였다. 다윈은 "열세 종의 육지 핀치들에서, 예외적일 만큼 두꺼운 부리에서부터 명금의 부리만큼 가느다란 부리에 이르기까지, 거의 완벽하게 점진적인 변화를 찾을 수 있다."라고 회상록에 적었다. 다윈은 이처럼 한 종 내에서도 섬마...2024.10.22
-
가장 감명깊게 읽었던 책은2024.10.091. 동서양 고전의 이해 1.1. 가장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 7장 황종희 명이대방록을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현재 정치인들에게 정말 유익한 글이자 리더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글이고 예비 리더들에게 필요한 말들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우리 모두 리더가 언젠가는 될 수 있기에 황종희 명이대방록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읽어야 할 부분이 아닐까 싶다. 기억에 남는 것은 바로 "옛날에는 천하의 백성이 주인[主]이고, 군주가 객[客]이었는데, 무릇 군주는 일생동안 천하를 위해 경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군주가 주인...2024.10.09
-
신 만들어진 위험2024.08.311. 신, 만들어진 위험 – 당신의 믿음은 필요 없다 1.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요즘 신종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이 개발되고, 최근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하면서 여러가지 부작용에 따른 불신이 세계적으로 문제시 되고, 접종을 거부하는 등 세계적인 이슈가 연일 보도 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과학적 실험에 기반한 통계적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임상 실험 결과가 이러한 불신을 증폭하여 더욱 두려움에 떨게하는 듯 하다. 코로나 19 뿐만 아니라, 사회에 폭넓게 퍼져있는 무분별한 믿음에서...2024.08.31
-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변함에 따라 나타난 사회 변화와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과학과 사회의 관계2024.09.081. 과학과 종교의 관계 1.1. 갈릴레오의 종교재판 갈릴레오의 종교재판 당시 통념과는 달리, 이 사건을 단순히 과학과 종교의 대립이라고 볼 수 없다. 당시 카톨릭교회가 처한 정치적 상황과 개인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우선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카톨릭교회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교회에서는 철학적 또는 과학적 배경이 약화되는 것을 용납할 수 없었다. 교황 자신도 개인적으로 갈릴레오의 책이 교회의 권위를 조롱한다고 여겨 분노하였다. 또한 갈릴레오의 순진한 믿음에 따라 교황청 측에 자신의 주장을 단순히 이성적으로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