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창상평가2024.08.261. 외상 응급환자 간호 1.1. 외상 환자의 초기 처치 1.1.1. 1차 평가 및 처치(ABCD; Primary survey) 외상 환자의 1차 평가 및 처치(ABCD; Primary survey)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하고 처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먼저 경추부 고정 및 기도 확보(Airway maintenance)에서는 기도를 폐쇄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안면부, 하악골, 기관이나 후두의 골절 여부를 평가한다. 의식 수준이 GCS 8점 이하일 경우 기관 삽관이나 외과적 기도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경부...2024.08.26
-
응급 상황 간호2025.03.191. 응급상황 간호의 정의와 필요성 1.1. 응급의 정의 응급의 정의는 한 개인이 갑작스런 질병이나 상해로 인하여 건강과 안녕이 급속히 위협받는 긴박한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도시 집중화, 교통량 증가, 산업재해 발생 증가 등으로 인해 다양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급의료체계의 발달과 응급의료종사자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응급간호 분야도 다양한 대상과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응급 환자는 즉시 필요한 응급처치를 받지 않으면 생명을 보존할 수 없거나 심신상의 중대한 위해...2025.03.19
-
응급 상황 간호2025.03.191. 응급 상황 간호의 개요 1.1. 응급 상황의 정의와 특성 응급 상황이란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상해로 인하여 개인의 건강과 안녕이 급속히 위협받는 긴박한 상황이다. 현대 사회의 도시 집중화, 교통량 증가, 산업 발달에 따른 사고 증가로 인해 가정, 길거리, 학교, 산업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응급의료체계와 전문 응급의료 종사자들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응급간호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응급간호는 다양한 연령대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응급질환 및 기저질환에 대한 신속한 간호를 제공하며, 생명을...2025.03.19
-
다발성손상 간호과정2025.05.111. 다발성 손상 간호과정 1.1. 사정 다발성 손상 환자의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활력징후, 의식수준, 신체 부위별 손상 정도를 확인하여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부위를 빠르게 파악해야 한다. 먼저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이나 쇼크 상태를 확인한다. 의식수준을 평가하고 동공반사와 운동신경 기능을 사정하여 신경학적 손상 여부를 확인한다. 호흡 상태와 산소포화도를 평가하여 호흡부전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전신을 세밀히 진찰하여 골절, 타박상, 열상 등 신체 부위별 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특히 복...2025.05.11
-
다발성손상 간호과정2025.05.111. 서론 다발성손상 환자의 간호과정 다발성 손상은 신체 여러 부위에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손상이 발생한 경우이다. 손상 정도와 손상 장기의 개수에 따라 사망률이 달라지므로, 신속하고 체계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다발성 손상 환자는 과도한 대사와 응고 활성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므로, 즉각적인 조치와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두부나 경부 손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다른 부위 손상이 동반되었는지 신속히 사정해야 한다. 2. 다발성 손상 간호과정 2.1. 비위관, 기관내관 사용과 관련된 흡인의 위험 비위관, 기관내...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