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취약계층 언어장벽 보건교육2024.11.211.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1.1. 다문화가족의 현황 다문화가족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은 2018년 2백 36만 7607명으로 2017년보다 8.6% 증가하였고, 우리나라 전국민 대비 체류외국인은 2014년 3.5%에서 2018년 4.6%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국적별 외국인 동포는 중국이 728,539명(82.9%)으로 가장 많으며, 미국 45,011명(5.1%), 우즈베키스탄 등의 순이었고, 국가별 외국인 입국자는 중국이 32.3%로 가장 많고, 일본, 타이완, 미국, 홍콩 순이었다. 지속적인 세계화...2024.11.21
-
이주여성2024.09.271. 배경 및 문제제기 1.1.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및 복지 현황 결혼이주여성의 건강 및 복지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우선 많은 결혼이주여성이 상대적으로 보건의료 환경이 열악한 국가 출신이기 때문에 한국에 입국하면 기초 건강관리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지원될 필요가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국내 이주민 코호트 사업(2007~2010)' 결과, 일부 국가 결혼이주여성은 우리나라 가임기 여성에 비교하여 빈혈 유병률과 기생충 감염률이 높고, B형간염 보균율, B형간염 항체음성률이 높고 간염항체양성률이 낮다. 또한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2024.09.27
-
독일의 차별배제모형에 대한 생각2024.10.171. 서론 세계화 시대에 국가 간 교류가 확대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이주민 증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대표적인 이주민으로는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난민 등이 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은 2007년 처음 100만 명을 넘어섰고, 2016년에는 200만 명을 돌파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체류 외국인의 증가폭이 다소 둔화된 측면에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관련하여 통계청에서 발표한 내외국인 인구전망에 ...2024.10.17
-
다문화 학교생활지도 개입 방안 수립2025.06.051. 서론 1.1.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필요성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다문화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우리나라에 체류하는 외국인 및 귀화자는 약 252만 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는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가족생활과 사회통합을 위해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은 결혼이민자와 그의 가족, 귀화자와 그의 가족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언어, 문화, 경제적 차이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다문화가족 자녀...202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