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족위기론과 가족진보론
1.1. 변화 지표에 따른 비교
가족위기론은 이혼율과 저출산율을 가족 변화의 주요 지표로 보고 있다. 이는 현대사회의 가족 특성 변화를 근본적인 구조와 기능의 쇠퇴로 바라보며, 이로 인해 개인과 가족의 삶이 혼란과 갈등에 직면한다고 본다. 반면 가족진보론은 권위주의 체제 붕괴,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가족구성원의 자발적 선택 증가 등을 지표로 제시한다. 이들은 가족형태와 기능이 다양화되는 것을 자연스러운 변화로 받아들이며, 이혼은 가족해체가 아닌 가구의 분화라고 본다.
즉, 가족위기론은 전통적인 가족규...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