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정상신생아 제대간호2024.10.041. 서론 1.1. 신생아 제대의 해부생리 cord lining membrane(제대 내벽 막)이 제대의 가장 바깥층이다. 탯줄 자체는 태반의 확장으로, cord lining membrane(제대 내벽 막)은 태반을 덮고 있는 양막의 확장이다. 제대(unblilcal cord)는 두 개의 작고 두꺼운 umbilical artery(제대 동맥)과 하나의 얇고 넓적한 unbilical vein(제대 정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1.2. 출산 후 제대간호 출산 후 제대간호는 신생아에게 감염을 예방하고 빠른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2024.10.04
-
정상분만 신생아 시뮬레이션2024.10.271. 신생아 간호 1.1. 기도개방 유지 신생아의 기도개방 유지는 생존의 주요 요인으로, 출생과 함께 신생아는 태반을 통한 순환에서 폐순환으로 전환하여 적응시기를 거치게 된다. 분만 즉시 수초~30초 내에 숨 쉬지 않으면 소생시켜야 하므로, 즉시 발바닥을 가볍게 때리거나 등을 쓸어주어 울거나 숨 쉬게 하고 그 시간을 정확하게 기록해야 한다. 신생아의 머리나 얼굴의 청색증은 괜찮지만 전체적인 창백함과 청색증은 심한 산소 부족을 의미하므로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숨을 쉬는 것이 확실하면 신생아의 머리를 낮추어 눕히고 흡인기나 스...2024.10.27
-
Conscious level 측정2024.09.031. 기본 간호 1.1. 구강 간호 1.1.1. 구강 관리 무의식환자나 스스로 구강간호할 수 없는 환자는 구강이 쉽게 건조되기 때문에 감염위험률이 높아 대상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자주 구강관리를 시행해야 한다. 구강 내 악취를 방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구강관리는 무의식 환자나 스스로 구강간호를 할 수 없는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데, 이들은 구강이 쉽게 건조되어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상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자주 구강관리를 시행해야 한다. 구강관리의 주요 목적은 구강 내 악취를 방지하고 구강 내 감염이...202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