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신지식농업인2024.09.28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업교사 직무분석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한국고용정보원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자료에 따르면, 농업·임업 및 어업 취업자 수는 2011년 1,542천 명에서 2016년 1,286천 명으로 255천 명 감소해 취업자 수가 연평균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6년까지 농림어업 종사자는 연평균 1.6%씩 감소하여 2026년에는 2016년 대비 187천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감소추세는 전세계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EU집행위 농업총국의 자료에 따르면,...2024.09.28
-
맥류사업 활성화 방안2024.10.221. 잡곡 산업 현황과 전망 1.1. 국내 잡곡 재배 현황 잡곡은 물이용과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어 벼, 맥류 등과 더불어 예부터 주식으로 이용되었으며 지금도 중요한 작물로 인정받고 있다. 국내 주요 잡곡 생산지는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남도이다. 전반적으로 잡곡의 생산액, 생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잡곡 소비는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사료보다는 주로 식량소비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건강한 삶과 건강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가난의 상징'이던 잡곡이 최고의...2024.10.22
-
스마트농업2025.01.021. 서론 현대 농업은 IT(정보통신)·BT(바이오)·ET(환경)·NT(나노) 등 융합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부가가치 융합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ICT(정보통신기술)을 농업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전반에 접목해 원격에서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관리하고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스마트농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과거와 달리 생활 수준의 회복과 발전으로 농수산물에 대한 수요는 증대되었고, 더욱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진 농수산물을 원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소비자뿐만이 아니라 기업과 산...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