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요고와 장고의 역사2024.10.041. 요고와 장고 1.1. 요고의 의미와 역사 1.1.1. 고구려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이다.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기 등의 유물에서 요고를 묘사한 그림이나 부조를 찾을 수 있다. 요고는 세요고(細腰鼓)라고도 불리며, 크기가 매우 작은 편이었다.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었고,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나라 및 당나라의 기록에서 고구려 요고와 관련한 언급이 있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노래 "...2024.10.04
-
요고와장고의역사2024.10.03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크기가 매우 작으며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고는 2014년 진도 앞바다에서 최초로 발굴되었고, 2017년에는 세종시에서 백제의 요고가 출토되어 그 사용이 적어도 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요고는 삼국시대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악기였던 것으로 보인다....2024.10.03
-
농악과 사물놀이의 차이2024.10.031. 서론 본 내용은 아래 물음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기존의 것을 계승하여 활용한 것을 찾아보고 그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해당하는 한국 민속에 대해 생각하던 중, 최근에 나의 과거 사진들을 보면서 추억 팔이를 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 중 초등학교 6학년 학예회 때 사물놀이 무대에 섰던 사진이 있는데, 이 사진을 보면서 뿌듯했다. 왜냐하면 성인으로 자란 지금이라도 다시 활동하고 싶을 정도로 즐거웠고 재미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예전에 내가 뉴스에서 '사물놀이의 세계화'에 대한 보도를 본 것이 ...2024.10.03
-
나에게 음악이란2024.09.231. 서론 R&B를 처음 접했을 때는 R&B의 유래나 역사, 혹은 장르에 대한 배경 지식이 전혀 없었다. 단지 독특한 창법과 끈적끈적한 리듬, 그리고 직설적인 가사가 주는 매력에 푹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오랜 시간동안 '리듬 앤 블루스'라는 장르를 즐겨 듣다가 불현 듯 이 장르의 배경에 대해서 관심이 생긴 시기가 있었다. '재즈 리듬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종의 재즈가 아닐까?', '힙합과 비슷한 장르로 묶이니깐 역사가 그리 길지는 않겠지?' 하는 의문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어느 날 R&B의 역사, 재즈 및 흑인 음악의...2024.09.23
-
요고와 장고의 역사에2024.10.111. 요고와 장고의 역사 1.1. 요고의 의미와 유래 요고(腰鼓)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타악기로서, 세요고(細腰鼓)라고도 한다. 요고는 몸통 양편에 북면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연주자는 이 몸통을 무릎 위에 올리고 앉아 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고의 사용은 늦어도 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어, 삼국시대에는 요고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악기였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1.2.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의 요고 고구려의 요고는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2024.10.11
-
설장구악보2024.11.261. 사물놀이의 이해 1.1. 사물놀이의 정의 사물놀이는 전통적인 길군악, 풍물굿, 탈춤 등의 요소를 결합한 한국의 대표적인 타악기 퍼포먼스이다. 사물놀이는 1978년 김덕수, 이광수, 김용배, 최종실 등이 주축이 되어 시작한 공연예술로, 꽹과리, 징, 장구, 북 등 네 가지 악기로 연주된다. 사물놀이는 한국 고유의 타악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독특한 리듬과 음색, 춤사위 등을 통해 한국적 정서와 미학을 드러낸다. 사물놀이는 단순히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넘어서 참여자 모두가 하나의 리듬을 만들어내는 집단적인 퍼포먼스...2024.11.26
-
꽹과리2024.12.161. 한국 문화자원의 이해 1.1.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악 관련 종목: 농악 농악은 한국사회에서 마을 주민의 안녕을 기원하고 마을 공동체의 화합을 이루기 위해 연행되며, 한국에서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대표 민속예술이자 징, 꽹과리, 북, 장구, 소고 같은 타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며 행진하거나 연극을 펼치는 종합 예술이다. 농악은 마을신이나 농사신을 위한 제사, 액을 물리고 복을 부르는 축원, 봄의 풍농 기원과 가을의 풍농 축제 등 한국인의 삶 속에서 늘 함께하는 것이었고, 공동체의 여러 행사에서 연주되며 신명...2024.12.16
-
마을공동체의 이해2024.08.301. 도시 주거공동체운동의 유형과 발전 1.1. 철거 반대운동 우리나라에서 도시주거운동은 도시의 무주택 빈민들이 그들의 생존권이라 할 수 있는 주거권을 자의식적으로 구현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도시주거운동은 대개 도심외곽의 빈민지역 주민들이 재개발에 따른 강제철거를 집단적으로 맞서는 투쟁을 전개하면서 출현하였다. 도시빈민운동은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지만 빈민지역의 저소득 세입자들이 재개발에 의한 강제철거란 상황을 주거권 박탈로 인식하는 조직적인 지역공동체운동으로 바뀐 것은 198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였다. 이는 토...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