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논증이 아닌것들2024.09.131. 논리와 추론 1.1. 참, 거짓 판단 및 타당성 검토 참, 거짓 판단 및 타당성 검토는 논증의 타당성과 건전성을 검토하는 것을 말한다. 우선,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고, 이후 논증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타당한 논증이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반드시 참이 되는 논증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건전한 논증이란 전제와 결론이 모두 참인 논증을 말한다. 첫째, 주어진 진술에 대한 참, 거짓 판단을 해보자. 1번 진술 "하나의 문장을 통해 여러 진술이 나타날 수 있다."는 참이다. 문장에는 명시적인 의미 외에도 암시적인 의미가 ...2024.09.13
-
논리적으로 그릇된 논증2024.09.131. 논리적 오류와 각 사례 1.1. 서론 우리는 어떤 판단에 있어서 진리성의 이유를 분명히 하는 일을 논증이라고 말한다. 풀어서 이야기하자면, 논증은 화자가 하고 싶은 말을 확실한 이유를 바탕으로 조리 있게 만들어내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주장을 내세워서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게 타당한 이유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논증을 구성하거나 추론하는 데 있어서 그릇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논리학 용어로 Logical Fallacy, 즉 '논리적 오류'라 명명한다. 논증을 잘하기 위해서 논리적 오류...2024.09.13
-
연구문제가 무엇인가? 문제 진술은 찾아내기 쉽고 명확하게 서술되어 있는가? 문제 진술은 새로운 연구를 설득력 있게 뒷받침 하는가2024.09.111. 논문 작성 과정 1.1. 글의 기본 요소 1.1.1. 논지 논지는 모든 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논지란 글 전체를 통해 쓰려는 내용을 명백하고 간단하게 한 문장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보통 글의 앞부분, 서두에 작성하는 것이 좋다. 논지는 글 쓰는 이의 주장이므로 누구나 익히 아는 통념 등은 논지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제한된 범위에서 한 가지 내용을 깊이 다루어야 하며 단일한 한 가지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논지는 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한다. 어떤 글을 쓰든지 무엇을 쓸 것인가를 먼저 정해야 하며 그것을 한...2024.09.11
-
분석과비판2024.09.211. 논술과 비판적 사고 1.1. 논술의 정의 논술은 제시된 주제에 관하여 필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다. 주어진 지문 등에 대한 이해력, 분석력, 비판적 사고력 사고내용에 대한 논리적 서술력 종합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비판적 글쓰기, 논리적 글쓰기로서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고, 타인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자신의 견해를 논증적으로 제시하는 데 필수적이다. 논술은 비판적 읽기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논리적 서술 능력을 필요로 한다." 1.2. 논증과 논술 논증...2024.09.21
-
논증의 탄생2024.10.011. 논증의 이해 1.1. 논증의 정의와 구성 요소 논증이란 어떤 주장이 진리임을 알려진 명제나 이미 확정된 명제를 근거로 하여 밝히는 과정이다. 논증이 제대로 되려면 주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단순한 주장은 논증과 같은 사유의 과정이나 논리적 절차가 없이 독립되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논증은 반드시 명제의 무리들로 구성된다. 즉 논증은 구조의 성격을 지닌다. 논증에서 어떤 글이나 명제가 내세우는 것이나 증명하고자 하는 바를 '주장', '결론'이라고 부르며, 그것들의 근거를 '논거' 또는 '전제(pr...2024.10.01
-
논증의 표준형식2024.10.011. 논증의 이해 1.1. 논증의 기본 요소 논증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제와 하나의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제는 논증의 주장인 결론을 지지하거나 입증하기 위해 제시되는 진술이다. 결론은 논증자가 다른 사람들이 받아들여 주기를 바라면서 그들을 설득하기 위해 의도한 진술이다. 논증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장(claim)은 논증자가 굳게 내세우는 의견이나 견해를 의미한다. 주장은 논증의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 둘째, 이유(reason)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진술로, 근거를 바탕으로 도...2024.10.01
-
함축 전제 연습문제2024.10.211. 논술과 비판적 사고 1.1. 논술의 개념과 특성 논술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논술은 특정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논술은 단순한 글쓰기가 아니라 사고 능력과 표현 능력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행위이다. 논술 교육의 목표는 사고 능력을 더 중요시하며, 이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논리적 서술 능력 등을 포함한다. 논술의 기본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으로 글을 읽는 능력이다. 이는 반성적으로 생각하면서 능동적으로 글을 읽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창의적으로 문제...2024.10.21
-
자소서 성장환경 작성해줘2024.10.151. 자기소개와 이미지 메이킹 1.1. 자기소개서의 정의와 특징 자기소개서는 "작성자의 직업, 경력, 이름을 타인에게 알리는 글"로 정의되며,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하는 '소개'의 정의는 첫째, 서로 알고 지낸 적이 없는 둘 사이에 일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 둘째, 서로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양쪽에서 잘 지내도록 관계를 맺는 역할, 셋째, 잘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나 사실을 상대방이 잘 알 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것이다. 자기소개서는 궁극적으로 서로 알고 지낸 경험이 없는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나누는 형식을 전제로 글을 쓰는 ...2024.10.15
-
비판적사고 정리2024.10.221. 논증의 이해 1.1. 논증의 개념 논증의 개념이란 논리와 비판적 사고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근거들이 있는 주장 하나를 포함하며 그 주장인 결론을 뒷받침하는 하나 이상의 전제들로 구성된 진술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논증은 논증자가 다른 사람들이 그가 주장하는 바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하기 위해 제시하는 진술들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증의 구성요소에는 결론과 전제가 있다. 결론은 논증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믿게 하고자 하는 주장이며, 전제는 그 결론을 지지하거나 입증하기 위해 제시되는 근거나 증거로서의 진술들을 ...2024.10.22
-
중학 논술 동물실험을 하지말아야 한다 찬성하다에 근거하는 3가지 주장2024.10.111. 서론 논증이란 어떤 주장이 진리임을 알려진 명제나 이미 확정된 명제를 근거로 하여 밝히는 과정이다. 논증이 제대로 되려면 주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논리적으로 증명되어야 한다. 단순한 주장은 논증과 같은 사유의 과정이나 논리적 절차가 없이 독립되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논증은 반드시 명제의 무리들로 구성된다. 즉 논증은 구조의 성격을 지닌다. 하나의 논증은 언어 기호로 이루어진 명제와 논거와 추론으로 이루어진다. 논증에서 어떤 글이나 명제가 내세우는 것이나 증명하고자 하는 바를 '주장', '결론'이라고 부르며, 그것들의 근거를...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