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의학용어 일반 해부학2024.10.061. 신체의 기본 구조와 이해 1.1. 해부학적 자세와 인체의 면 1.1.1. 해부학적 자세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의 부위별 위치와 운동의 동작에서 기준이 되는 자세이다. 양팔을 옆에 붙이고 손바닥과 발끝을 앞으로 향한 상태로 눈은 수평위치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자세를 말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와 기관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를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이를 통해 신체의 구조와 움직임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의학 및 무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1.1.2. 인체의 면 인체의 면은 인체...2024.10.06
-
약리학문제2024.09.181.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1.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1.1.1. 녹내장 약물 녹내장 약물은 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약물들이다. 녹내장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에는 축동제, 아드레날린 효능제, 아드레날린 길항제,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등이 있다. 먼저, 축동제는 동공을 수축시켜 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대표적인 축동제로는 pilocarpine, carbachol 등이 있다. 이러한 축동제는 녹내장 환자의 안압 감소에 효과적이지만 과도한 수축은 폐색성 녹내장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아드레...2024.09.18
-
당뇨병성 망막병증 간호과정2024.12.081. 당뇨병성 망막병증 1.1. 정의 및 개요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당뇨가 있는 환자에서 특유한 망막의 순환장애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신증과 함께 당뇨병에서 3대 미세혈관합병증 중 하나이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시력저하를 일으키고, 심하면 실명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변화는 혈관이 약해지는 것이며, 약해진 혈관에 의해서 출혈이 발생하거나 혈액 속의 지방성분이 혈관을 빠져나가 망막에 쌓일 수도 있다. 고혈당이 유지되면 당뇨망막병증은 빠르게 악화될 수가 있고 망막에 신생...2024.12.08
-
약리학문제2024.12.141.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1.1. 녹내장 환자에게 주의해야 할 약물 녹내장 환자에게 주의해야 할 약물은 다음과 같다. 녹내장 환자에게는 동공을 확장시켜 안압을 높일 수 있는 항콜린성 약물 사용을 피해야 한다. 이러한 약물에는 atropine, ipratropium(Atrovent), scopolamine(Transderm-Scop) 등이 포함된다. 이 약물들은 동공을 확장시켜 안압을 높여 녹내장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녹내장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은 안압을 낮추는 아드레날린 약물과 콜린 약물이다....2024.12.14
-
성인간호학 정리2024.12.151. 감각계 1.1. 맥락막 맥락막은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망막의 바깥 1/3 부분의 대사를 주관하는 역할을 한다. 맥락막은 공막을 통하여 들어오는 광선을 차단하고, 맥락막 혈관망은 망막과 공막에 영양을 공급한다. 맥락막은 색깔이 진하며 망막에 연화된 판구조를 가지고 있다. 맥락막은 지방조직과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망막의 외측 1/3 정도를 영양 공급한다. 맥락막은 공막을 통해 들어온 광선을 차단하여 망막에 전달되는 광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맥락막은 망막의 색소상피세포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202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