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게으름에대한찬양요약2024.12.281. 중국 고전사상: 노자와 장자 1.1. 노자의 사상 1.1.1. 노자 인물의 다양한 해석 노자 인물의 다양한 해석이다.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쉽게 말해, 노자에 관해 가장 기본이 되는 기록이며 최초의 공식적 전기인 이 있는데, 〈노자열전〉을 보면 노자는 초나라의 곡인리 사람이고,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이라고 한다. 그런데 또 '노자명'을 보면 초나라 상현 사람이라고 나온다. 이처럼 노자라는 인물만으로도 어느 한 가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 노...2024.12.28
-
양주의 위아설2024.10.171. 동양철학의 흐름 1.1. 유가 철학자와 제자백가 철학자의 대립 유가 철학자와 제자백가 철학자의 대립은 춘추전국시대라는 혼란스러운 시기적 배경 속에서 나타났다. 당시 사회는 유교적 가치관의 붕괴와 함께 새로운 사상들이 부상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유가 철학자로는 공자, 맹자, 순자가 있었고, 제자백가 철학자로는 양주, 노자, 장자 등이 있었다. 유가 철학자들은 유교적 가치관과 질서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공자는 도덕적 수양과 예법의 실천을 강조하였고, 맹자는 인간의 선한 본성을 믿으며 왕도정치를 주장하였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2024.10.17
-
도덕성 독후감2024.11.021. 소개 노자의 '도덕경'은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논의되는 고전 중 하나이다. 특히 당시 유교 사회가 지배적이었던 시대에 등장한 노자의 사상은 기존의 규범과 가치관을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혁신적인 것이었다. 노자가 말하는 '도(道)'는 인간의 언어로 정의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우주의 근원적인 힘이자 진리다. 그는 "도를 도라고 말로 표현하면, 그 도는 항구 불변한 본연의 도가 아니고, 이름지어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참다운 실재의 이름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도를 규정하려는 노력은 오히려 그 본질을 흐리게 만든다고...2024.11.02
-
사기열전 편작2024.11.031. 사기열전 소개 1.1. 사마천과 사기열전 사마천은 기원전 1세기 인물로 중국 전한의 역사가이다. 그는 태사령을 지내기도 했으나, 한나라 무제 때 친구 이릉 장군이 흉노족에게 항복한 것을 변호하다 궁형에 처해진 후 이를 최악의 치욕이라 하며 이런 말을 남겼다. "내가 법에 따라 사형을 받는다고 해도 그것은 한낱 '아홉 마리의 소 중에서 터럭 하나 없어지는 것(구우일모)과 같을 뿐이니, 나와 같은 존재는 미물과 무엇이 다르겠나? 그리고 세상 사람들 또한 내가 죽는다 해도 절개를 위해 죽는다고 생각하기는커녕 나쁜 말 하다가 큰 죄...2024.11.03
-
책과 노니는 집2024.10.151. 동양철학의 재조명 1.1. 노자와 장자의 사상 노자와 장자의 사상은 동양철학의 독특한 특징을 보여준다. 노자는 무위자연과 도(道)를 강조하였고, 장자는 유(遊) 개념을 통한 정신적 해방을 주장하였다. 노자는 세계 만물이 서로 상반되지만 모순 없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도라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도는 무형무상하여 다른 존재에 의해 규정될 수 없는 본체이자 근원이다. 모든 것이 도에서 나왔으며 도에 귀속된다. 따라서 도를 지향하는 성인은 무위자연의 삶을 살아야 하며, 인위적인 것을 배제하고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라야 한다. ...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