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국내외 노인보건의료정책과 노인간호실무적용2024.11.071. 노인간호 정책과 실무 1.1. 노인간호사의 전문직 표준 1.1.1. 노인간호사의 직무와 역할 기준 노인간호사의 직무와 역할 기준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노인 대상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노인전문 간호사의 임무를 제시하고 있는데, 자료수집, 임상적 의사결정(진단, 계획, 평가) 등의 간호과정 이외에도 치료적 중재, 응급상황관리, 교육과 상담, 환경자원관리, 전문직 발전 참여, 조정 협동과 연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2024.11.07
-
노인간호학 요약정리2024.11.171. 노인간호 1.1. 노인의 정의 및 분류 노인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쇠퇴하는 늙은 사람을 의미한다. 노인의 개념은 연령에 따라 구분되며, 연소노인(60-74세), 중노인(75-84세), 고령노인(85세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UN은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구분하는데, 고령화사회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 이상, 고령사회는 14% 이상, 초고령사회는 20% 이상인 사회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향후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노...202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