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nernst equation2024.10.06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금속 간 환원 경향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화학 전지를 구성하고, 전지 전위와 네른스트 방정식을 통해 화학 전지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총 3가지 실험을 진행한다. 첫 번째는 금속의 종류에 따른 전지 전위 측정, 두 번째는 전해질 농도 변화에 따른 전지 전위 변화 관찰, 세 번째는 네른스트 식을 이용한 농도 측정이다. 이를 통해 금속 간 산화-환원 반응과 화학 전지의 원리, 네른스트 식의 유도 및 각 성분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 기구 및 시약 실험 기구...2024.10.06
-
electrochemistry using Cu electrode2024.11.291. 부식의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 1.1. 부식의 개념과 종류 1.1.1. 부식의 정의와 원리 부식이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료의 성질 저하를 말한다. 대부분의 금속(그리고 많은 재료)에서 부식은 불가피하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부식의 근본적인 원인은 시스템의 깁스 자유 에너지 감소에 있다. 대부분의 금속 및 금속으로 만든 엔지니어링 구성품은 에너지를 제공하여 생산되는데, 이로 인해 금속은 천연의 저에너지 산화물 상태로 회복하려는 강한 구동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금속의 자연 산화물 상태로의 회복 현상을 부식이라고 한다. ...2024.11.29
-
양극벗김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수용액에서의 납 이온 정량 분석2024.11.191. 전기화학반응 1.1.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은 화학 반응의 한 유형으로, 전자의 이동이 동반되는 반응을 의미한다. 산화란 물질이 전자를 잃는 과정이며, 환원은 물질이 전자를 얻는 과정이다. 산화 반응과 환원 반응은 동시에 일어나므로 전체 반응은 산화-환원 반응이라고 한다.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을 생성하는 반응, 수소를 빼앗는 반응, 이온으로부터 전자를 빼앗는 반응 등 다양한 과정이 산화 반응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철이 녹슬는 과정은 산화 반응의 대표적인 예로, 철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철(Fe2O3)을 생성한...2024.11.19
-
전기분해와 전기도금 예비2024.10.171. 전기분해와 전기도금 1.1. 전기화학 반응의 이해 1.1.1. 산화와 환원 반응 산화와 환원 반응은 전기화학 반응에서 핵심적인 개념이다. 산화 반응은 전자를 잃어 전하가 증가하는 반응을 의미하며, 환원 반응은 전자를 얻어 전하가 감소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이때 전자를 잃어 산화되는 물질을 환원제, 전자를 받아 환원되는 물질을 산화제라 한다. 전기화학 반응에서 산화 반응은 양극(아노드)에서 일어나며, 환원 반응은 음극(cathode)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철이 산화되어 이온화되는 반응 Fe → Fe2+ + 2e-은 양극...2024.10.17
-
electrochemistry using Cu electrode2024.10.171. 부식의 전기화학적 분석 1.1. 부식의 개념과 형태 부식이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료의 성질의 저하를 말한다. 대부분의 금속(그리고 그 물질에 대한 많은 재료)의 부식이 불가피한데, 이는 시스템의 Gibbs 에너지 감소에 그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거의 모든 금속(및 금속으로 만들어진 엔지니어링 구성품)의 생산은 시스템에 에너지를 제공하지만, 이런 열역학 원리로 인해 금속은 구동력이 강하여 천연의 저에너지 산화물 상태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연산화물 상태로의 회복 현상을 부식이라고 하는데, 이는 불가피하지만 ...2024.10.17
-
전지 반응과 엔트로피 측정2024.08.141. 서론 1.1. 화학 반응에서의 엔트로피와 깁스 자유 에너지 화학 반응에서 엔트로피와 깁스 자유 에너지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엔트로피는 열역학 제2법칙을 통해 증명되며, 화학반응의 자발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화학 반응에서 엔탈피 변화와 엔트로피 변화에 따라 반응의 자발성이 결정된다. 엔탈피 변화가 음수(발열반응)이고 엔트로피 변화가 양수라면 화학 반응은 자발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엔탈피 변화가 양수(흡열반응)이고 엔트로피 변화가 음수라면 화학 반응은 비자발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화학반응의 ...2024.08.14
-
서울대학교 화학실험 22024.09.071. 전기 화학 1.1. 물질의 전기 전도도 전기 전도도란 용액 중 전해질 이온의 세기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전해질 이온이 많을수록 전기전도도는 높아지게 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증류수와 KCl 수용액 모두에서 LED에 불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증류수의 경우 빛이 매우 약하게 관찰되었으며, KCl 수용액에서는 강하고 밝았다. 이를 통해 증류수와 KCl 수용액 모두 일정 수준의 전기전도도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ED는 전류의 양에 따라 밝기가 좌우되는 반도체로 만들어진 발광소자이므로, 실험 결과로부터 ...2024.09.07
-
서울대학교 일반화학실험22024.09.071. 전기화학 1.1. 금속의 전기전도도와 화학전지 1.1.1. 금속의 이온화 경향성 금속의 이온화 경향성이란, 일반적으로 금속 원소가 양이온이 되어 용액 속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경향을 말한다. 전자를 잃는 것이기 때문에 일종의 산화이며, 이에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산화되기 쉬운 금속이라고 할 수 있다. 주요 원소들의 이온화 경향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K > Ca > Na > Mg > Al> Zn > Fe > Ni > Sn > Pb > (H) > Cu > Hg > Ag > Au. 어떤 금속을 그보다 이온화 경향이 작은 금...2024.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