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내진설계2024.10.261. 지진과 내진 설계 1.1. 지진의 정의 및 종류 지진이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해 지구의 표면이 흔들리는 현상이다. 흔히 자연적 원인 중 단층 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변위 자체를 지진이라고 한다. 현상적인 정의로는, 지각 내에 저장되어 있던 변형력이 탄성진동 에너지로 바뀌어 급격히 방출되는 현상을 지진이라고 할 수 있다. 지진의 종류는 깊이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0~70km는 천발지진, 70~300km는 중발지진, 300~700km는 심발지진으로 나뉜다. 지진파는 실체파와 표면파의 두 가지로 나뉜다. 실체파는 P...2024.10.26
-
지진방재2024.10.221. 서론 1.1. 우리나라의 재난발생 현황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조금 벗어나서 대규모 지진 가능성은 작지만, 체감지진이 끊이질 않아 평소 지진 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2022년 한반도 및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77회로, 2021년 70회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사람이 직접 체감한 지진은 13회로 2021년 15회에 비해 조금 감소하였다. 규모에 따른 지진 발생 빈도는 규모 2.0~2.9가 69회, 규모 3.0~3.9가 7회, 규모 4.0~4.9가 1회였다. 디지털 관측 기간인 1999년부...2024.10.22
-
지구과학 내진설계2024.11.121. 서론 1.1. 내진설계의 배경 지진은 더 이상 과학책 속에서만 보던 하나의 자연현상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을 언제든 침범할 수 있는 무서운 존재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말한다.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내진설계가 도입되었으며 몇 년 전부터 3층 이상의 일반 건축물에도 내진설계의 적용이 의무화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내진설계가 도입되기 전까지 구조물의 설계개념은 탄성의 설계개념이었다. 탄성의 설계개념이란 '고정하중 및 활하중'처럼 어떤 주어진 설계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을 구성...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