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내진 레오폴드2024.09.171. 분만 과정과 간호 1.1. 산모 사정 1.1.1. 태아 상태 사정 태아 상태 사정은 분만 과정에서 아기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태아 상태를 사정하는 방법에는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태아 전자감시, 태아 심음 청진 등이 있다. 먼저, 레오폴드 복부촉진법은 임부의 복부를 촉진하여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복부 촉진을 통해 태아의 머리, 등, 팔다리 등의 부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태아의 선진부가 두부인지 둔부인지, 또한 태아가 어떤 자세로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태아의 상태를 ...2024.09.17
-
분만 중 고통을 호소하는 산모에게 진통을 완화시키고 안정감을 주는 대화2024.09.181. 서론 1.1. 자연분만의 정의와 특성 자연분만(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NSVD)은 임신 37~41주 사이에 정상적으로 질을 통해서 태아를 낳는 가장 일반적인 분만 방법이다. 산모의 신체에 특별한 이상이 없으며, 태아도 건강한 상태이면서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질을 통한 분만을 진행한다. 이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출산이 이루어지며, 모체와 태아에게 가장 생리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분만은 진통의 고통이 있지만 수술에 따른 합병증이 적고 회...2024.09.18
-
여성간호학 분만관련 간호 문헌고찰2024.09.221. 분만실 간호 1.1. 분만 초기 사정과 간호중재 1.1.1. 간호력 사정 간호력 사정은 산부의 개인적 상황과 산과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개인적 상황으로는 이름, 입원 동기, 연령, 키, 몸무게, 가족형태, 가족관계, 출산교육 참가 여부, 수유계획 등을 기록한다. 산과력으로는 현재 임신력과 과거 산과력을 사정한다. 현재 임신력에는 마지막 월경 시작일, 자궁저부높이 상태, 태아의 몸무게 추정, 활력증상, 혈압, 몸무게 증가 형태, 고위험 임신 여부, 산전출혈 또는 전치태반, 양막 파열 후 지연, 골반질환, 투여 약물, 임신 시...2024.09.22
-
초산모 시뮬레이션2024.09.231. 산모 간호 사정 1.1. 활력징후 측정 및 수액 속도 확인 활력징후 측정 및 수액 속도 확인은 산모 간호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간호사는 산모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처치를 제공하기 위해 이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간호사는 산모의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산모의 반응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출산 중 산모의 체온 상승은 감염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한 혈압 변화는 산후 출혈이나 전자간증 등 산모의 건강 문제를 시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간호사는 산모에게...2024.09.23
-
융모양막염2024.11.051. 융모양막염 1.1. 정의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은 임신한 임산부의 융모와 양막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한다. 태아가 자라는 양수를 둘러싸고 있는 양막이 세균에 감염되면 태아의 조산과 사산, 신생아 패혈증과 폐 질환, 모체의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융모양막염은 산부의 0.5~1% 정도, 조기파막 산부의 20%정도에서 발생한다. 융모양막염은 조기진통, 조산이나 조기 양막파수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양막파막이 오래 되거나 분만진통이 길어지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며 산모 및 태아의 패혈증이 올 수도 있다. 1...2024.11.05
-
분만과정 관찰2024.10.181. 분만 과정 관찰 1.1. 내진(Pelvic exam) 1.1.1. 목적 내진의 목적은 ①증세 변화 여부 확인, ②무통각제를 투여해도 될 만큼 경부가 개대 되었는가를 확인, ③분만이 예상보다 지연될 때 분만 진행을 재평가, ④선진부의 위치파악, ⑤자궁 경부의 상태, 태아의 하강정도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1.2. 방법 내진(Pelvic exam)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에게 배뇨를 시킨다. 그리고 사용할 기구를 준비하는데, 질경은 삽입하기 전에 따뜻해야 한다. 대상자에게 쇄석위를 취하게 하고 앞으로 할...2024.10.18
-
선근증2025.02.121. 서론 1.1. 선근증의 정의 및 개요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바깥부위인 나팔관이나 난소, 복막 등에 퍼져 자라는 것이다. 자궁내막증이 생기면 내막세포가 다른 곳에도 번져 똑같은 작용으로 출혈을 유발하게 된다. 만약 내막세포가 난소에 번져있다면 난소에 출혈을 일으켜 난소혹을 만들고, 나팔관에 퍼지면 나팔관을 막아 불임을 일으키기도 하며 복막에 있다면 복막유착을 일으켜 통증이 생기게 된다. 자궁내막증은 월경 주기에 따른 생체 내의 여성 호르몬의 변화에 반응하여 증식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치료를 위해서는 월경을 멈...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