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국제 통용 표준 한국어 교육 교재과 한림 한국어 교재를 비교2024.10.141. 서론 1.1. 교재의 중요성 교재는 언어 교수 현장의 3대 요소(교사, 학습자, 교재) 중 하나이며, 교사가 학습자에게 '무엇'을 가르칠 때 그 '무엇'을 담고 있는 총체적인 도구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에게도 학습자에게도 교재가 가지는 의미는 단순히 교육의 보조 역할 이상일 수밖에 없다. 교재를 구성하는 것은 교육과정, 교수요목, 교육목표, 교육철학, 교육 기관의 교육 정책 등 다양한 것들이 존재한다. 그 가운데 교수요목이란 교육의 목표가 정해진 이후,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교육 내용과 순서)와 어떻게 가르칠 ...2024.10.14
-
학습 목적에 따른 한국어 교재를 하나 선정하고 분석해 보십시오2024.10.171. 서론 오늘날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만큼, 그들의 목적 역시 과거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이때 특수 목적 언어교육(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LSP)이란 특화된 영역에서의 수요를 위한 언어교육을 의미하며, 한국어 교육 역시 이러한 특수 목적 언어교육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여러 가지 특수 목적의 한국어 교재가 출간되고 있는데, 아래에서는 시중에 출판된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를 한 권 선택한 후, 해당 교재가 갖고 있는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해당...2024.10.17
-
학습목적에따른한국어교재를하나선정하고분석2025.01.031. 특수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 1.1. 특수 목적 언어교육의 유형 특수 목적 언어교육의 유형이란 특화된 영역에서의 수요를 위한 언어교육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인 일반 목적의 언어교육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비즈니스 목적의 언어교육이다. 이는 사업 및 직업적 목적에서 언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호텔이나 요식업, 뷰티/미용업 등 언어를 주로 사용하는 접객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실무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 생활 적응 목적의 언어교육이다. 이...2025.01.03
-
교과교재연구지도법 피드백2024.09.101. 한국어 교재 분석 1.1. 한국어 교재 평가 모형 1.1.1. 교수학습 상황분석 교수학습 상황분석은 학습기관, 학습자, 교사라는 세부 범주에 따라서 평가 항목이 구성되어 있다. 학습기관에서는 학급의 규모, 교수-학습 환경 등이 고려된다. 학습자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연령대 및 수준, 학습 동기 등이 포함된다. 교사의 경우에는 교육 경험, 전문성 등이 평가 대상이 된다. 이러한 교수학습 상황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연령대와 수준을...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