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접촉주의 감염관리2024.09.171. 병원 감염관리와 환자안전 1.1. 병원 감염관리 1.1.1. 병원감염의 정의와 종류 병원감염이란 입원할 당시 증상이 없었거나 잠복기 상태가 아니었던 감염이 입원 후 또는 수술 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한 것을 말한다. 병원감염에는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이 있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정상 세균총이 기회감염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술 중 정상 세균총이 병변 부위로 유입되거나, 도뇨관 삽입 등의 침습적 처치로 인해 요로감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반면 외인성 감염은 의료...2024.09.17
-
의료기간 내 감염2024.10.071. 병원감염의 개념 1.1. 병원감염의 정의 병원감염의 정의는 "입원 당시에는 증상이 없고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증이 입원 후에 혹은 퇴원 후에 발생하는 경우를 병원감염이라고 한다"이다. 즉,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이전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사람이 입원 후 혹은 퇴원 후 30일 이내에 병원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폭로되어 발생되었거나 환자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던 내인성 미생물에 의해 발생된 감염을 말한다. 1.2.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이 구강이나 장 등에 보유하고 있는 균...2024.10.07
-
병원감염 관리와 수두 케이스2024.09.191. 병원감염(원내감염) 관리와 간호 1.1. 병원감염이란? 병원감염(원내감염)이란 입원 당시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외과 수술 환자-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되는데, 의학의 발전, 노령인구의 증가, 만성퇴행성 질환자의 증가, 다수의 항균제 남용, 항암제 및 면역 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면역부전 환자의 증가, 각종 침습적 의료 처치의 이용 확대 등으로 인해 병원 감염률이 높아지고 있다. 주요 원인으로는 의사, 간호사, 의료인의 접촉, 카테터, 내시경 등 혈...2024.09.19
-
병원성미생물관리2024.10.301. 의료관련 감염 1.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및 특징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 hospital-acquired infection)이란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혹은 외과 수술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환자뿐 아니라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endogenous) 감염과 외인성(exogenous) 감염으로 구분된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병원체에 의...2024.10.30
-
분당제생병원2024.10.171. 병원 감염의 정의와 특성 1.1. 병원 감염의 정의 병원 감염이란 입원 당시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 또는 외과 수술 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이다. 즉,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새로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한다. 병원 감염은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으로 구분된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조직 및 기관에 상재하는 정상균 무리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이며, 외인성 감염은 외부로부터 미생물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감염이다. 주로 요로계 감염, 기타 감염, 폐혈증, ...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