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금속의 조직 관찰2024.09.221. 금속 미세조직 관찰 1.1. 실험 목적 금속학적 원리를 기술 분야에 적용하려면 금속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서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변화와 그 재료의 조직과 성질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야 한다""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현미경이며, 이것으로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을 볼 수 있고, 또 금속중의 여러 가지 상과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의 조직에 미치는 열처리, 가공 및 기타 처리의 영향을 알 수 있고, 또 기계적 성질과의 관계도 연구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2024.09.22
-
배관2024.10.011. 배관 재료 설명 1.1. 강관 1.1.1. 관의 호칭법 강관의 호칭법에는 A호칭과 B호칭이 있으며, A 또는 B의 앞에 있는 숫자는 관의 내경에 가까운 수치를 각각 mm 또는 inch 단위로서 표시를 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관의 내경의 치수를 표시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강관의 호칭법에는 A호칭과 B호칭이 두 가지 방식이 있다. A호칭과 B호칭 앞의 숫자는 관의 내경에 근접한 수치를 mm 또는 inch 단위로 나타낸 것이지만, 이는 실제 관의 내경을 직접적으로 표시한 것은 아니다. 즉, 관의 호칭법상 표시...2024.10.01
-
금오공대 화학적 특성평가 부식 보고서2024.10.261. 부식 이론 1.1. 부식의 정의와 종류 부식은 금속이 외부로부터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소모되어 가는 현상으로, 액체상과 접촉하고 있을 때 일어나는 습식과 기체상만으로도 비교적 고온일 경우에 일어나는 건식으로 크게 구별된다. 부식은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성질이 있으며, 도금·도장, 표면 산화피막의 형성, 전기방식 등의 부식 방지법이 있다. 부식의 종류에는 전면부식(Uniform of General Corrosion), 극간부식(Crevice Corrosion), 전해부식(Galvanic Corrosion), 공식(Pitting...2024.10.26
-
재료결정학2024.10.261. 결정 구조 분석 1.1. 면심입방격자와 육방최밀격자 면심입방격자(face-centered cubic, FCC)와 육방최밀격자(hexagonal close-packed, HCP)는 대표적인 결정 구조의 유형이다. 면심입방격자는 정육면체 단위포의 각 면 중심에 원자가 배치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원자 간 가장 가까운 거리는 단위 모서리의 1/√2배가 되며, 이를 통해 원자 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면심입방격자의 원자 밀도는 높아 원자가 가장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해 면심입방격자 구조를 가...2024.10.26
-
주형제작법과 주조방안에 대해2024.10.181. 주조(鑄造)용 합금 1.1. 동합금(銅合金) 1.1.1. 황동(黃銅) 황동(黃銅)은 구리에 아연을 첨가한 합금으로, 아연의 함유량에 따라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달라진다. 황동은 주조성이 청동에 비해 우수하지만 내식성은 떨어진다. 황동은 구리에 아연을 첨가하여 만든 합금이다. 아연의 함량에 따라 황동의 기계적 특성이 달라진다. 아연의 함량이 높을수록 황동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증가한다. 황동의 주조성은 청동에 비해 우수하다. 이는 아연이 구리의 주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황동의 내식성은 청동에 비해 떨어진다. ...2024.10.18
-
필릿용접2024.10.091. 용접 개요 1.1. 용접의 정의 및 종류 금속재료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두 금속을 접합하는 것이 용접이다. 용접은 여러 가지 기계요소와 구조물을 결합하여 조립하는 공정에 사용된다. 금속을 접합하는 방법에는 기계적인 방법과 금속적인 방법이 있다. 기계적인 방법에는 리벳 접합, 볼트 접합, 심 점합, 익스팬딩 등이 있다. 금속적인 방법에는 용접, 압접, 납접 등이 있는데 주로 영구적인 결합을 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용접이라는 것은 금속적인 접합으로써 금속을 가열하거나 작업방법에 따라 가스 용접, 아크 용접, 전기저항 용...2024.10.09
-
전해연마2024.11.181. 양극 산화와 전기 도금 1.1. 양극 산화 1.1.1. 양극 산화의 개념 양극 산화란 황산과 수산 등의 전해 용액 중에서 물건을 양극으로 하고, 통전하여 표면에 산화 피막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의 경우 산화 피막의 두께가 4~10의 범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착색이 가능하여 그 용도가 넓다. 양극 산화는 장식, 방식, 기능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 처리에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각종 새시와 문, 필기도구, 카메라 압판, 명찰 등부터 항공기와 정밀 기계, 계측 기...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