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간호사가 관련된 의료사고사건2024.09.251. 환자안전사고 현황 1.1. 환자안전 통계연보 주요 내용 2022년 환자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는 총 1만 4820건으로 2021년보다 약 113% 상승했으며, 월평균 약 1,235건이 보고돼 환자안전법 제정 후 연도별 최다 보고 건수를 달성했다. 사고의 발생 장소는 입원실(6,035건 40.7%)과 외래진료실(4,276건 28.9%)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사고의 종류는 약물(6,412건 43.3%), 낙상(5,745건, 38.8%), 상해(495건 3.3%), 검사(493건 3.3%), 처치/시술(...2024.09.25
-
환자 안전 사건 보고서2024.10.011. 환자안전사건 보고서 1.1. 수면내시경 환자 낙상 사고 1.1.1. 환자안전 사건 개요 2014년 12월 19일 09시 50분경 A씨는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하였다. 병원의 의료진은 A씨에게 미다졸람 4㎖를 주사한 후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후 A씨를 회복실로 옮겼는데, 의식이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침대에서 떨어져 낙상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A씨는 경추 후관절 탈골증, 경추 골절, 불완전 척수마비 진단을 받고 수술 및 재활치료를 받게 되었다. 1.1.2. 문제점 분석 이 사건 낙상사고의...2024.10.01
-
낙상관리RCA보고서2024.12.131. 환자안전사고 관리 개요 1.1. 추진 근거 환자안전법 제4조(보건의료기관의 장과 보건의료인의 책무)와 제9조(환자안전기준)에 따르면 보건의료기관의 장과 보건의료인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환자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준수해야 한다"이다. 또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인증 조사기준 2.3 환자안전보고체계 운영(2주기 필수항목) 중 (ME 3- 적신호사건 관리)에 근거하여 적신호사건 관리가 요구된다"이다. 1.2. 근본원인분석(RCA)의 개념 근본원인분석(RCA, Root Cause Analysis)이란 적신...2024.12.13
-
동기능부전증후군2024.11.28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 동기능부전증후군(Sick Sinus Syndrome)은 심장에서의 정상적인 전기적 발생이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신호를 규칙적으로 잘 만들어 내지 못하여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이로 인해 긴 동휴지기(sinus pause) 또는 동정지(sinus arrest)와 함께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발생 빈도가 높다. 동기능부전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심장의 전기 발전기에 해당하는 동결절의 노화에 따른 퇴...2024.11.28
-
가족간호 지역사회2024.09.101. 서론 가족은 사회의 기본적인 단위 일 뿐만 아니라 가치등 이 형성 되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결혼과 혈연관계로 형성되어 지속되는 가족은 각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하며 일련의 발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족생활 주기는 정체된 것이 아니고 계속 변화하면서 가족 구성원들의 역동성에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변화와 소비자의 요구, 한정된 의료자원 등으로 인하여 간호의 대상에 개별대상자의 건강과 더불어 전체 가족의 건강을 가족역동의 측면에서 다루어 져야 함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2024.09.10
-
간호관리학_간호윤리 사례보고서2024.10.111. 간호윤리와 법적 책임 1.1. 간호실무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1.1.1. 신체적 자유와 안전의 대립 환자의 신체적 자유와 안전의 대립은 간호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 중 하나이다.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의식이 혼돈되어 있거나 낙상의 위험이 높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에게 보행 및 낙상 예방을 위해 억제대를 사용하고자 할 때, 환자의 신체적 자유를 침해한다는 우려가 발생한다. 반면에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으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낙상 예방을 위해 억...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