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가 왜 사회적으로 통제되어야 하는가
2024.10.06
1.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사회의 변화
1.1. 개인중심적 사회의 발달
1960년부터 2011년까지 개인주의적인 관행과 가치는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거나 이혼 등과 같은 개인적 관습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주의가 증가하지 않았다고 나타난 국가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4개 국가로 개발도상국인 말레이시아, 카메룬, 말리, 말라위뿐이었다. 나머지 53개 국가 중에서 39개 국가 사람은 가족보다 친구에게 가치를 더 높게 부여했고 아이들에게 독립심을 강조하며 언론의 자유를 호소하기도 하는 등 개인적 가치관이 많이 ...
2024.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