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대지현황분석2024.09.071. 건축 계획과 대지분석 1.1. 대지분석의 정의와 목적 대지분석이란 건축 및 시설을 건설하기에 앞서 그 바탕이 되는 대지가 가지고 있는 조건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대지에 대한 상황뿐만 아니라 미래에 변화하게 될 대지의 상황을 예측하며 외적인 부분은 물론 내적인 부분까지 파악하고 도출된 문제점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여 설계에 반영하기 위함이다. 즉, 대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조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이를 설계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대지분석의 목적은 건축물...2024.09.07
-
건설기술교육원 기본교육 건축시공 과제2024.12.131. 건설기술교육과정 1.1. 건설계획 및 설계실무의 이해 1.1.1. 기획설계 기획설계는 설계수주를 위한 사업성 및 규모 검토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건축주의 프로그램, 재정, 요구시간 및 업무 범위를 설정하며, 시설 계획과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프로젝트 스케줄과 예산 계획을 수립한다. 대지 분석을 통해 논리적이고 현명한 대지 사용, 선택 등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하여 건축주와 계약을 결정하고, 건축물을 포함한 대지에 관한 각종 자료를 기초로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도면을 작성한다. 이 단계에서는 일...2024.12.13
-
건설계획 및 설계실무의 이해2025.09.011. 서론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생성되고 관리되는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디지털 설계엔지니어링기법이다.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도면작성 프로그램 간 호환, 엔지니어링 정보, 사업관리 정보 등의 호환이 가능해 건축, 토목, 기전 등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율할 수 있다. 이에 공사 기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등 생산성이 향상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는 첨단 설계기법이다. 1980년대 객체 ...202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