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어쩌다 한국인2024.09.191. 한국 사회의 현주소와 대안 1.1. 사춘기에 빠진 한국 사회 1.1.1. 사춘기 정신 없는 한국 사회 언제부터인가 인터넷을 조금만 살펴보아도 '헬조선', '탈조선'과 같은 한국을 부정적으로 여기는 말들이 만연해 있다. 오히려 경제발전과 복지발전 등으로 인해 전보다 살기 좋아진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한국사회를 생각하는 태도는 회의적으로 변화하였다. 옛날에는 '열심히 가꿔서 잘 살아보자'였다면, 지금은 '살기 힘든 나라 탈출하자'라는 마음이 강한 사람들이 늘어난 것이다. 이는 한국 사회가 사춘기 정신 없는 모습을 보이...2024.09.19
-
경제적 불평등이 없는 미래사회2024.09.291. 사회 불평등의 현황과 특징 1.1.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의 실태 우리나라 사회에서의 소득 및 자산 불평등의 실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위기 이후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부진했던 반면 자산가격은 부동산 경기 부양 촉진책이나 주가 부양책 등으로 엄청난 상승률을 기록했다. 즉 자산형성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심리는 근로소득 축적이 주택가격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경제 위기 이후 최하층은 부채가 급증한 반면 최고 부유층은 순자산이 증가하고 특히 부동산자산 보유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가계 부채의 증가와 주택가격의...2024.09.29
-
위험사회와 미래직업2024.09.281. 일자리의 미래 1.1. 로보칼립스 혹은 로보토피아 자동화와 로봇공학의 발전으로 인해 일자리의 미래가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로보칼립스라고 불리는 비극적인 미래를 예측하고 있는 반면, 다른 이들은 로보토피아라고 불리는 긍정적인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로보칼립스를 주장하는 이들은 자동화로 인해 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고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들은 사람들이 노동시장의 변화를 따라갈 수 없고, 모든 직업이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사람들이 삶의 목적을 상실하고, 로봇...2024.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