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꺼삐딴 리2024.10.011. 개요 이 작품은 변절적인 순응주의자, 즉 카멜레온 같은 인물을 모델로 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친일파,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는 친소파, 월남 후에는 친미파로 시류에 편승해 영화를 누리고 살았던 한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노예적 속성을 비판함과 아울러 민족사의 비극을 암시한다. '꺼삐딴'은 영어의 'Captain(우두머리라는 뜻)'에 해당되는 러시아어로, 해방 후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들이 쓰는 말을 흉내 내어 쓴 것인데, 이 '꺼삐딴 리'라는 제목에서도 힘 있는 것에 기대어 주체성을 망각하는 자들의 병든 인식을 우리는 ...2024.10.01
-
꺼삐딴리 국어국문학과2024.10.091. 문학작품 분석: 『꺼삐딴 리』와 『수난이대』 1.1. 작품 개요 『꺼삐딴 리』와 『수난이대』는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시기를 다룬 대표적인 소설 작품이다. 『꺼삐딴 리』는 1962년 『사상계(思想界)』 7월호에 발표된 전광용의 단편소설로, 주인공 '이인국'을 중심으로 일제 식민지 시대부터 해방기, 전쟁 이후까지의 역사적 변화와 그에 따른 개인의 변화를 그려냈다. 특히 이인국은 시대의 변화에 맞춰 기회주의적으로 행동하며 살아가는 인물로 그려지며, 작품을 통해 작가는 그러한 인물상을 비판하고자 했다. 제목 "꺼삐딴 리"는 영어...2024.10.09
-
조선회상 줄거리2024.11.201. 소개 작가 전관용은 함경남도 북청군 거산면 성천촌에서 1919년 3월 1일 출생했다. 아호는 백사이며, 경성경제전문학교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1953년 대학원까지 수료했다. 그는 193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등단했고, 195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여'로 소설 데뷔를 했다. 이후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는 1962년 발표한 단편 '꺼삐딴 리'이다. 이 작품으로 제7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밖에도 단편집 '이별'과 '노을빛 강물', 장편 '구름에 달'과 '불이'가 ...2024.11.20
-
수난이대 발표2024.11.101. 서론 『꺼삐딴 리』는 1962년 『사상계(思想界)』 7월호에 발표되었고, 같은 해에 제7회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주인공 '이인국'이라는 인물을 형성시킨 역사와 시대 상황에 주목하면서 개인과 역사와의 불가분의 관계를 지적한 소설이다. 「꺼삐딴 리」는 일제 식민주의부터 해방기, 전쟁 이후까지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지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시대가 바뀔 때마다 그 시대를 주도하는 헤게모니에 몸을 맡기는 기회주의자 이인국의 삶을 그려내었다. 특히, 이 작품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한 개인의 이기적·속물적 근성의 일부를 잘 표...2024.11.10
-
꺼라2024.08.311. 전광용 소설 분석 1.1.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대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대는 해방 후 혼란스러웠던 한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해방 이후 정국이 불안정하였고, 민족 반역자들을 청산하지 못한 채 국가 건설을 하게 되면서 논란이 되어왔다. 해방 이후 한국은 미군과 소련군이 주둔하게 되면서 분단이 고착화되었고, 이승만과 김일성의 대립으로 국토가 황폐화되었다. 이후 선진국들의 지원을 받으며 경제 성장을 거듭하게 되지만, 민족 반역자 청산 문제는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어왔다. 4.19 혁명, 5.16 군사 쿠데타 등 정치적 격변...202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