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미적,수2,세특2024.11.231. 미분을 이용한 로지스트 방정식 1.1. 개체군 증가 모델 1.1.1. 이론적 생장곡선(지수형) 이론적 생장곡선(지수형)이란 생물의 개체수가 이상적인 환경조건에서 생식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고 계속 번식한다면,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J자 모양의 생장 곡선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론적 생장곡선을 유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개체수가 t시간에 n, t+dt시간에 n+dn이라고 하면, 단위 시간당 증가량은 dn/dt로 나타낼 수 있다. 개체수가 이상적인 조건에서 증가한다면 이 증가량은 그 시점의 개체수 n에 비...2024.11.23
-
β-갈락토시데이스 검사와 이중 성장 곡선 분석2024.11.241. 세포 성장과 생장곡선 1.1. 생장 단계 1.1.1. Lag phase Lag phase는 새로운 환경에 세포가 적응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세균은 분열을 즉각적으로 시작하지 않고 ATP, 리보솜, 보조인자 등을 생산하는데 에너지를 소모한다. 새로운 배지에서는 이러한 필수 요소들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장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합성해야 한다. 따라서 Lag phase 동안에는 세포 수의 변화가 거의 없다. 한 환경에 잘 적응된 세균을 같은 조건의 배지로 옮길 경우에는 Lag phase가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새로운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