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1개
-
인간심리의이해2024.10.151. 심리학의 개념과 연구 방법 1.1. 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심리학은 '마음'을 뜻하는 그리스어 'psyche'와 '연구하다'는 의미의 'logos'가 합성된 것으로,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심리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과학적 심리학이 등장하기 이전에는 고대로부터 철학자들에 의해 마음과 행동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투스는 행동이 자유의지와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은 심신이원론을 주장하며 마음과 지식이 영속적이라고 보았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신일원...2024.10.15
-
밀란쿤데라의 불멸에서 자아정체성2024.10.241. 서론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질문이다. 시인 김광규의 시는 이러한 고민을 적절히 표현하고 있다. 시인은 "나는 나의 아버지의 아들이고, 나의 형의 동생이고, 나의 동생의 형이고, 나의 남편의 아내고... 오직 하나뿐인 나는 아니다. 과연 아무도 모르고 있는 나는 무엇인가"라며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고 있다. 필자 역시 나의 정체성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생각하는 '나'는 다를 수 있으며, 심지어 오늘의 내...2024.10.24
-
밀란쿤데라 불멸과 공각기동대 자아정체성2024.10.241. 서론 1.1. 정체성에 대한 고민 "정체성에 대한 고민은 오래전부터 인간이 지속적으로 탐구해온 문제이다. 우리는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게 된다. 개인의 정체성은 단순히 외적인 요소로만 규정될 수 없으며, 내면의 경험과 가치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김광규 시인의 시에서처럼 '나'는 아버지, 형제, 배우자 등 다양한 관계 속에서 정의되며, 이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상황과 맥락에 ...2024.10.24
-
밀란 쿤데라 불멸과 공각기동대 자아정체성2024.10.241. 서론 1.1. 나는 누구인가? 자아 정체성에 대한 탐구 김광규 시인의 시 '나는 누구인가'에서 드러나듯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물음은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보는 근본적인 질문이다. 시인은 "나의 아버지의 아들이고 나의 형의 동생이고 나의 동생의 형이고 나의 남편의 아내고"와 같이 자신의 정체성을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정체성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정의되며, 때로는 타인이 바라보는 '나'와 내가 생각하는 '나'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시간의 변화에 따라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가 다를 수도 ...2024.10.24
-
밀란쿤데라 불멸2024.10.241. 소개 밀란 쿤데라의 소설 『불멸』은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삶과 죽음, 그리고 기억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일곱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부분은 다른 시대와 공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이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은 대학에서 역사학을 가르치는 역사학자로, 자신의 연구를 위해 베티나라는 19세기 말 독일의 귀족 여성이 남긴 일기장을 발견하게 된다. 베티나는 자신의 삶과 사랑을 기록한 일기장을 남겼으며, 괴테와의 관...2024.10.24
-
김종영미술관2024.09.131. 과거 기억의 재구성과 삶의 의미 1.1. 기억의 왜곡과 완전성 추구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회상할 때 실제 기억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의식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그대로 기억한 것처럼 치부하고 기억을 왜곡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각자의 현재 상황과 심리적 상태에 따라 과거의 기억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과거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기억하고자 하는 욕구를 갖고 있지만, 시간의 흐름과 함께 기억은 변형되어 완전한 상태로 보존되지 않는다. 기억은 늘 불완전하고, 부분적이며, 현재의 관점에 따...2024.09.13
-
고백록2024.09.171. 소개 《고백록》은 어거스틴이 397년에 쓰기 시작하여 400년에 완성한 작품으로,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어거스틴 자신의 회고록이다. 이 책을 통해 그는 자신의 방탕했던 옛 생활을 참회하고 참된 그리스도교인으로 거듭났음을 고백한다. 《고백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1권부터 9권까지는 어거스틴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 즉 인간의 죄와 그를 도와주시는 하나님의 은총과 관용에 관한 내용이다. 10권은 그의 영적 현재 상태를 묘사하고, 11권부터 13권까지는 창세기 첫 장에 대한 해석, 즉 ...2024.09.17
-
고백록2024.09.131. 소개 서론 《고백록》은 서방교회의 지도자이자 고대 그리스도교 철학의 대부인 아우구스틴(354-430년)이 397년부터 400년 사이에 저술한 책이다. 이 책은 기독교 문학 중에서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책에서 아우구스틴은 자신의 유아기부터 청년기까지의 방탕한 생활과 회심의 과정을 고백하고,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신학적 성찰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단순한 자전적 기록을 넘어서 자신의 체험을 통해 하나님의 은총을 드러내고,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교리와 신학을 체계화하는 것이었다. 아우구스...2024.09.13
-
시각 자료와 말로 전달되는 정보 중 무엇이 더 장기 기억에 효과적일까2024.09.251. 기억과 부호화 1.1. 기억의 정의와 유형 기억은 개인이나 동물이 경험한 사건, 정보, 지식, 감각 등을 인지하고 기록하는 인지적 기능이다. 기억은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다리로써, 경험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고 추출하여 필요한 시점에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기억은 외부 자극이나 내부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를 신경망 내에서 변환, 조직화, 보관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과정은 정보 처리, 학습, 판단, 의사 결정 등 인간의 인지능력과 능동적인 행동에 필수적이다. 기억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주로 ...2024.09.25
-
불멸 자아정체성2024.10.221. 서론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다. 김광규 시인의 "나는 누구인가?"라는 시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나의 정체성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생각하는 '나'도 있을 것이고, 오늘의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내일의 내가 생각하는 '나'가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타인이 바라는 '나'를 연기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수많은 '나' 속에서 진정한 '나'는 존재하는 것인지,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지, 타인...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