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지진방재2024.10.221. 서론 1.1. 우리나라의 재난발생 현황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조금 벗어나서 대규모 지진 가능성은 작지만, 체감지진이 끊이질 않아 평소 지진 재난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2022년 한반도 및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77회로, 2021년 70회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사람이 직접 체감한 지진은 13회로 2021년 15회에 비해 조금 감소하였다. 규모에 따른 지진 발생 빈도는 규모 2.0~2.9가 69회, 규모 3.0~3.9가 7회, 규모 4.0~4.9가 1회였다. 디지털 관측 기간인 1999년부...2024.10.22
-
데이터 시각화 사례2024.10.221. 데이터 시각화의 실용적 활용 1.1. 기상청의 날씨 정보 시각화 기상청의 날씨 정보 시각화는 실시간으로 날씨를 관측하여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우선 기상청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좌측에 지도가 나타나는데, 이는 각 지역의 기온과 날씨를 인포그래픽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 지역 이름과 기온, 날씨, 풍속 등의 정보를 이미지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날씨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오른쪽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날씨 정보가 표 형식으로 나타나며, 미세먼지 상황은 원...2024.10.22
-
기상청 자료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2024.12.191. 서론 과학과 컴퓨터가 발달하기 이전 시대에도 기상정보는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정보였다. 특히 농경사회가 주요 산업이었던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컴퓨터가 고도로 발달한 현대 산업사회라고 해서 기상정보가 갖는 절대적인 가치가 변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예전보다 이상기후로 인해 점점 기록을 경신하는 무더위와 추위, 태풍과 가뭄의 기현상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기후로 인해 국가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어서 기상정보의 의미는 더욱 특별하게 되었다. 한 국가를 뛰어넘어 인류...2024.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