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심폐소생술2024.12.021. 심폐소생술 1.1. 정의 및 목적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정지 환자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다. 즉,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를 통해 심정지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뇌 무산소증을 방지하여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심폐소생술의 핵심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 심폐소생술의 유형 1.2.1. 기본 소생술(BLS) 기본 소생술(BLS)은 의료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일반인이나...2024.12.02
-
응급환자시뮬레이션2025.03.181. 응급환자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1.1. 상황 설정 및 병력 파악 가나다 환자는 74세 남성으로,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다. 최근 며칠 동안 체한 것처럼 속이 답답하고 묵직한 느낌이 지속되어 소화제를 복용해왔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목과 어깨 주변으로 통증이 동반되었다. 당일 오전 학교에서 수업하던 도중 갑자기 가슴을 움켜쥐며 옆으로 쓰러졌으며, 119 구조대의 CPR로 인해 ROSC 상태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부모님이 모두 고혈압과 당뇨를 앓았고, 아버님은 심근경색으로 5년 전 사망하였다. 1.2. 초기...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