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개
-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2024.09.121. 중환자실 의료 장비 및 기구 1.1. 심전도(EKG) 1.1.1. 심전도의 개념과 유도법 심전도(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 방법이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그래프로 기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심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 효과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심전도 유도법에는 12유도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12유도법은 사지 유도와 흉부 유도로 구분되며, 서로 다른 관점에서 심장의 전기 활동을 기록한다. 사지 유도는 표준사지 ...2024.09.12
-
미숙아 검사결과2024.09.211. 미숙아의 개요 1.1. 미숙아의 정의 미숙아는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한다. 출생 시 체중이 2500g 이하인 저출생 체중아의 2/3가 미숙아이다. 미숙아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적인 치료와 간호가 필요한데, 이는 모체에서 충분히 자라지 않은 채 태어났기 때문에 아기 스스로 내외적인 환경에 적응하고 조절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미숙아는 심각한 선천성 기형과 같은 위험요인도 흔히 나타나며,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다. 1.2. 미숙아의 특징 미숙아는 만삭아와 달리 임신말기 마지...2024.09.21
-
역류성식도염 긴호사례2024.10.081. 서론 1.1. 필요성 화순 전남대학교 병원은 72병동이 암병동으로 대부분 소화기계 암이 차지하고 있다." 그 중 식도암 진단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환자를 선택하게 되었는데, 이는 식도가 음식물 섭취 시 중요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곳에 염증이나 암이 생긴다면 사람은 영양을 섭취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식도암 환자를 관찰하고 이에 대한 사례 연구를 적용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의 안위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1.2.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화순 전남대학교 병원 72병동 종양내과...2024.10.08
-
기도흡인위험성 간호진단2024.10.031. 간호과정 1.1. 간호진단 객담증가와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이 간호진단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신생아 중환자의 폐렴 증상에 따른 것으로, 객담 증가와 화농성 객담 배출, 과다한 진액 흡인의 필요성 등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호흡기능을 증진시키고 기도 개방을 유지하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간호사는 신생아의 호흡 양상, 객담 양상, 진액 흡인 횟수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기록하여 기도 폐쇄 위험을 평가해야 한다. 또한 체위 변경, 진액 흡인, 약물 투여 등을 통해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호흡기능을 증진시...2024.10.03
-
아동 페닐케톤뇨증 사례연구2024.12.011. 페닐케톤뇨증의 간호 1.1. 사례 생후 15개월의 남아로 부모와 함께 내원하였다. 잦은 구토를 호소하였으며 운동 반사 등 발달 사정시 근긴장과 건반사가 항진되었으며 앉기나 뒤집기 걷기 등 또래 나이보다 성장이 지연됨을 확인할수 있었다. 외관상으로는 머리카락이 밝은 갈색을 띄었다. 그리고 엄마가"아이 오줌에서 곰팡이 냄새가 나요"라고 하였다. 부모와 상담하였을 때 아이를 출산한 후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상의 이상으로 병원에서 아이를 데리고 내원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병원을 가지 않았다고 하며 "우리 아이가...2024.12.01
-
응급 특수2024.10.301. 신생아 응급 처치 1.1. 신생아 일반적인 문제 1.1.1. 기도흡인 신생아의 기도흡인은 응급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신생아의 기도에 이물질이 흡인되면 기도가 폐쇄되어 호흡 곤란, 저산소증, 심정지 등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생아 응급 처치에 있어 기도확보는 가장 중요한 조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신생아의 기도흡인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태변이 섞인 양수 흡인, 구토물 흡인, 분비물 과다 흡인 등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특히 산모의 선행 질환이나 분...2024.10.30
-
lung cancer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2024.11.061. 서론 1.1. 대상자 소개 대상자는 73세 남성으로, 현재 우측 폐 또는 기관지 하엽의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 of lower lobe, bronchus or lung, right) 진단을 받은 환자이다. 대상자는 2015년 7월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사 결과 우하엽의 종양이 발견되었고, 이후 수술, 화학 요법 등의 치료를 받아왔으나 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상태이다. 현재 마약성 진통제와 산소 요법 등의 처치를 받고 있으며, 가래 배출 곤란, 연하 곤란, 우울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대상자...2024.11.06
-
GI bleeding 간호진단 중환자2024.11.0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EICU 실습이었던 만큼 응급으로 처치가 필요한 환자들이 많았다. 뇌출혈, 뇌경색, 급성호흡부전, 급성신부전, 심부전, 위장출혈 등 이론으로 배웠던 질환을 다양하게 볼 수 있었다. 그 중에서 나는 위장출혈에 관심이 갔다. 왜냐하면 간호사가 되어 임상에 나가면 나는 소화기 병동에서 근무하고 싶기 때문이다. 또한 실습 중 한 환자가 ER에서 EICU로 이실 되기 전 EMR을 통해 입원 기록을 먼저 보았다. 그런데 주증상이 hematemesis인데 mental status가 drowsy라고 기록되어 있...2024.11.05
-
성인간호학 뇌내출혈 사례 보고서2024.11.03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ICH(intracerabral hemorrhage)는 뇌혈관 파열로 인한 뇌 조직 내로의 출혈에 의해 나타나며, 중년 후반기부터 연령 증가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고 사망률이 높다. 뇌내출혈은 고혈압에 의해 2차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50세 이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출혈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한 뇌졸중은 뇌혈관 밖으로 나온 혈액이 조직을 자극하기 때문에 뇌혈관경련과 뇌허혈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출혈은 보통 광범위한 잔여기능의 손실을 일으키고 모든 뇌졸중의 형태 중 회복세가 가장 느리...2024.11.03
-
호흡기계 간호진단2024.11.121. 간호진단 목록 1.1. 비효과적 호흡양상 1.1.1. 평가 비효과적 호흡양상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얕게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평균 20회/분)을 확인하였다. 산소포화도는 4월 17일 94%, 4월 18일 93%로 낮게 유지되고 있었다. 객담량이 4월 17일 30cc, 황색-녹색-혈액 섞인 객담이 배출되고 있었다. 이는 기도 분비물의 과다한 축적으로 인한 호흡기능 저하를 나타낸다. 기침으로 인해 숨가쁨을 호소하였고, 병실에서는 주로 앉아서 호흡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호흡양상과 ...202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