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기능적 분담방법2024.09.181. 간호전달체계 1.1. 정의 및 특징 간호전달체계(nursing care delivery system)란 간호모델이라고도 하며 대상자들의 요구 충족을 위해 간호 인력을 구성하고 조직하여 대상자에게 간호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간호전달체계는 간호 인력을 어떻게 배치하고 구성할 것인지, 대상자에게 어떻게 간호를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간호 조직의 접근 방식을 말한다. 간호전달체계에는 기능적 분담방법, 일차간호방법, 사례방법(독간호), 총체적 간호법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각각의 방법은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간호조직의 ...2024.09.18
-
조선대 경영조직론2024.09.201. 간호전달체계 1.1. 간호전달체계의 개념 간호전달체계는 간호사가 간호대상자에게 효과적으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업무분담을 통하여 간호업무를 전달하고 업무수행을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간호 조직은 조직의 목표와 간호부의 철학, 목적, 자원, 경제적ㆍ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병원과 간호부 조직의 상황에 맞는 간호전달체계 방법을 선정하여 실행한다. 간호부에서 간호전달체계 선정 시 비용의 효율성, 환자와 가족의 요구, 간호직원의 요구, 간호 시 간호과정의 적용 가능성, 의사소통 증진 등을 고려해야 한다. 간호전달체계의 대표적인 방법으...2024.09.20
-
간호관리 실습2024.08.271. 입원관리 1.1. 예약입원 환자 관리 EMR에 표기된 '입원예정' 환자를 확인 후 X-ray, 심전도, 혈액검사 등의 확인서를 미리 준비해 놓는다. 환자성명·등록번호가 적힌 라벨지를 각 확인서 및 입원팔찌에 부착한다. 예약입원인 환자일 경우 예약된 자리로 배정한다. 호실별 (소아병실, 여성, 남성) 특징을 알아둔 뒤 병실을 정한다. 입원환자가 도착하면 병실안내, 환의 제공, 환자정보 기록지 작성 등을 수행한다. 주치의에게 환자가 곧 도착할 것임을 알린다. 식이, 자가약 등을 확인한다(자가약 확인이 어려울 경우 약국으로 보내 ...202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