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산업안전보건법의 제정과 발전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53년 5월 10일 근로기준법 내에 산업안전 관련 조항들이 처음 생겨났다. 여기에는 위험방지, 안전장치, 유해물질 관리, 안전보건교육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이후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사업장의 기계설비가 대형화, 고속화되고 건설공사가 대규모화되어 중대재해가 급증하게 되었다. 1970년 전체 산업의 재해자 수는 37,752명이었으나 1980년에는 113,375명으로 3배나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1981년 ...
2024.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