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미숙아 흡인 핵심간호술2024.09.121.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병태생리, 치료 및 간호 1.1.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주로 미숙아(재태기간 36주 미만)에서 폐의 미숙한 발달로 인해 폐의 지속적인 팽창과 폐포 확장을 유지시켜 주는 물질인 계면활성제(surfactant)의 생성, 분비 부족에 의해 무기폐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진행성 호흡부전 질환이다. 1.2. 병태생리 1.2.1. 폐의 구조적 미숙 폐의 구조적 미숙은 미숙아에게 있어 호흡곤란증후군의 주요 원인이다. 미숙아는 태어나기 전까지 폐가...2024.09.12
-
신생아일과성빈호흡2024.09.211. 서론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서 발생 원인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는 폐액의 흡수지연 때문에 생기고 큰 합병증 없이 회복이 잘되는 질병이다. 그러나 72시간 이상 빈 호흡이 지속되기도 하며 심각한 저산소증과 호흡부전, 기흉 등의 합병증이나 사망까지 이르기도 한다. 회복이 빠르고 잘 되지만 미숙아보다 만삭아에게서 주로 생긴다는 점이고, 치료경과는 좋지만 발생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이 질병을 case로 잡게 되었다. 2.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2024.09.21
-
아동간호사 역할수행중 직면하는 윤리적 딜레마 예시 외 해결방안2024.09.141. 아동간호사의 역할과 윤리적 딜레마 1.1.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 요약 1.1.1. 아동과 가족의 옹호자 아동간호사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아동과 가족의 옹호자이다. 아동도 건강과 질병 상태에 대해 알 권리, 치료 형태를 결정•상담받을 권리를 갖는다. 부모의 권리와는 별개로 아동도 독자적인 법적 권리를 갖는다. 치료나 간호가 고려될 때 부모의 동의와 함께 아동의 동의도 중요하다. 아동의 과보호, 무관심, 학대가 만연한 만큼 옹호자로 전문간호사가 중요시 되고 있다. 아동의 성장 및 건강유지의 중요성과 질병의 예방을 강조한다....2024.09.14
-
중환자실 의학용어2024.09.301. 신생아 중환자실 핵심 용어 및 약어 1.1. 임신 및 출산 관련 용어 임신 및 출산 관련 용어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매우 중요한 기본 지식이다. 우선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어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산(abortion)의 경우, 자연유산(spontaneous abortion, SA)과 인공유산(artificial abortion, AA)으로 구분된다. 자연유산은 임신 중에 우연히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유산을 의미하며, 인공유산은 의도적으로 행하는 인공유산을 뜻한다. 이 두 유형은 큰 차이가 ...2024.09.30
-
성인 간호학 하부호흡기계 장애2024.10.071. 호흡기계 질환 및 간호 1.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는 상부기도와 하부기도로 구분되며, 상부기도는 코, 부비동, 인두, 후두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기도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기도에서는 공기의 여과, 가온, 가습화 등이 이루어지며, 하부기도에서는 가스교환이 일어난다. 호흡기계의 주요 기능은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음성 및 기타 발성 생성, 후각 감지, 배골반안 내용물 배출, 흉강과 복부골반강 내 림프와 정맥혈의 흐름 돕기, 산-염기...2024.10.07
-
호흡부전2024.11.041. 급성 호흡부전 1.1. 정의 및 병태생리 1.1.1. 급성 호흡부전의 정의 급성 호흡부전이란 폐포 내 가스와 모세혈관의 혈액 사이에 생긴 산소, 이산화탄소의 교환 장애가 급성으로 발병한 상태를 의미한다. 즉,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가스 교환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저산소증과 이산화탄소 축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환자의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1.1.2. 환기부전, 산화부전, 환기와 산화부전의 복합 환기부전, 산화부전, 환기와 산화부전의 복합은 급성 호흡부전의 ...2024.11.04
-
벤틸레이터 간호2024.10.241. 기계적 환기의 이해 1.1. 기계적 환기의 정의 기계적 환기는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과정으로,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그에 대한 지지간호로서 제공된다. 기계적 환기는 환자의 호흡기능이 유지되지 않아 폐에서의 산소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호흡부전이 치료되는 동안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 압력과 산소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호흡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1.2. 기계적 환기의 목적 기계적 환기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리적인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2024.10.24
-
신생아 ventilator weaning 간호2024.10.151. 인공호흡기 1.1. 인공호흡기의 정의 및 목적 인공호흡기는 대상자의 환기 기능이 나빠져 환자의 자발호흡만으로 폐 혈액가스 교환이 적절히 유지되지 못할 때 대상자에게 기계장치를 동원하여 인위적인 호흡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부여한 기구이다. 인공호흡기의 목적은 ① 폐포 환기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② 호흡운동의 부담을 줄여 주고 심근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함, ③ 동맥혈 산소화를 유지 및 개선시키기 위함, ④ 호흡에 드는 노력을 감소시키고 안위증진을 도모하기 위함, ⑤ 호흡근육의 긴장도를 증가시키고 폐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함,...2024.10.15
-
copd CASE2024.10.101. 서론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이다. COPD는 세계적으로 사망률이 높고 경제적 부담이 큰 주요 질환으로,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심장질환, 뇌졸증, 감염 등 대부분 주요 질환들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점점 떨어지는 반면 COPD만은 그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COPD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2. COPD의 정의 만성...2024.10.10
-
AOP 간호과정2024.10.0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숙아 무호흡(apnea of prematurity, AOP)은 주기성 호흡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20초 이상 자발적인 호흡이 없는 상태이며 맥박이 느려지거나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청색증을 동반한다. 미숙아에게 흔한 증상으로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빈도가 증가한다. 재태기간 32주 이하 미숙아의 1/3, 30주 이하의 대부분에서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는 AOP는 미숙아에게 주로 호발하므로 본 사례연구를 통해 NICU에서 실습하는 동안 AOP의 치료 및 간호, 합병증, 예방 등에 대해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