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건축속 탄소나노튜브2024.09.121. 탄소나노튜브와 나노기술 1.1.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와 특성 탄소나노튜브는 탄소의 동소체로서 지름이 수 나노미터에 불과한 관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매우 뛰어나며, 종횡비가 매우 커 전자방출원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구조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달라지는데, 그래핀 시트를 일정한 각도로 감아서 만들어진 구조에 따라 금속성 혹은 반도체성을 나타낸다. 금속형 탄소나노튜브는 전기전도도가 상온에서 35K까지 금속성을 보이며, 이는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를 입증한 것이다. 이...2024.09.12
-
세라믹의 경도2024.11.071. 세라믹의 경도와 인성 측정 1.1. 실험 목적 이 시험은 다이아몬드 피라미드 형상의 압자를 사용하는 DVK-2S Hardness Tester를 이용하여 재료의 경도 및 파괴인성을 측정하고, 세라믹 재료에서 균열전파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물성인 파괴인성(Fracture Toughness, K_{IC})을 DVK-2S Hardness Tester를 통해 IF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경도(硬度) 경도(硬度)는 물체의 굳고 무른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광물이나 금속의 성질을...2024.11.07
-
합금의 조직구성 3가지 및 조직의 명칭2024.10.201. 금속재료의 조직관찰 및 기계적 특성 평가 1.1. 금속재료의 구조와 특성 금속재료의 구조와 특성은 재료의 특성을 결정하는 근본이 된다. 금속재료는 원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들의 배열 및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특성을 보인다. 금속재료는 일반적으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들은 결정 격자를 형성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결정구조는 금속재료의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금속재료의 결정구조는 주로 면심입방구조(FCC), 체심입방구조(BCC), 육방밀집구조(HCP)...2024.10.20
-
기계공학과 역학 구술고사 준비2024.10.111. 기계공학 전공 개요 1.1. 어닐링 처리 어닐링 처리는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한 다음 적절한 속도로 냉각하여 경도를 감소시키고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냉간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원하는 미세조직을 얻는 처리이다. 완전 어닐링은 아공석강을 Ac3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과공석강을 Ac1과 Acm 사이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변태영역에서 서랭시키는 처리로, 재료 연화와 가공성 향상이 목적이다. 노말라이징은 강을 변태영역 이상의 적절한 온도의 오스테나이트영역으로 가열한 다음 공기 중에서 냉각하는 처리로, 절삭가공에 용이하다. ...2024.10.11
-
현대사회와신소재2024.12.071. 재료 특성과 분류 1.1. 재료 선정 과정 재료 선정 과정은 응용처 선정, 물성 확인, 물질 확인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품의 용도와 성능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적합한 재료를 선정한다. 그 다음 해당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전기적, 열적 특성들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재료의 내구성, 내식성, 강도, 절연성, 열팽창성 등 제품 사용에 필요한 특성들이 만족되는지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선정 재료의 제조 공정, 가공성, 생산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재료를 결정한다. 이러한 체계적인 재료 선정 과정을 ...2024.12.07
-
연세대 신소재2024.10.221. 투명 Al2O3 소결체 기술 개발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되면 사람들은 항상 그 스마트폰의 screen glass에 관심을 가진다. 최근 Apple사에서 출시된 iPhone 12의 경우 기존의 screen glass에 나노 사이즈의 세라믹 크리스털을 코팅하여 경도를 더욱 강화시켰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해본 결과 screen glass가 언제든 깨질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 iPhone 13의 screen glass에 뛰어난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열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알루...2024.10.22
-
플라스틱수지종류2024.11.261. 열가소성 수지 1.1. 폴리에틸렌(PE) 1.1.1.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고압의 에틸렌 조건에서 자유라디칼 중합법으로 제조되는 제품이다. 높은 가지화도에 따른 사슬간의 쌓임 정도가 낮아 밀도가 낮다. 인장강도가 낮지만 연성이 강화된 재료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닐 포장재로서 널리 사용된다. LDPE는 결정성 열가소성플라스틱으로 그 자체는 투명 그레이드로는 이용될 수 없다. 유백색으로 소프트왁스상의 감촉을 가지며 분자고리의 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정화도의 수준은 낮다. 이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