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김옥균 인물 리포트2024.09.231. 조선의 근대화와 국제정세 1.1. 서세동점과 조선의 대응 16세기부터 시작된 서세동점은 상업적인 측면과 기독교적인 측면의 온순한 진출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19세기에 이르러서 서양 국가의 교역 목적의 주도적 진출이 진행되었으며, 조약을 체결하는 등 그 성격이 변화했다. 이러한 서구의 19세기 동아시아 진출은 조선, 일본, 중국 간의 질서에 큰 파장을 미쳤으며, 삼국은 다른 방식으로 대응했다. 화이 질서로부터 만국공법의 질서로 전환되는 19세기 속 중국은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조공책봉 체계를 수호하기 위해 획책했다. 세...2024.09.23
-
조선에대한 청과 일본의 입장2024.09.011. 갑신정변과 조선의 대응 1.1. 갑신정변의 배경과 전개 갑신정변의 배경과 전개는 다음과 같다. 임오군란 이후 고종은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 개화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때 개화정책을 둘러싸고 온건파와 급진파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었다. 온건파는 조선과 청나라의 사대관계를 주장하였지만, 김옥균, 홍영식, 서광범 등의 급진 개화파들은 청나라의 간섭을 배격하고 청나라로부터 벗어나 서양의 기술과 근대 사상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급진 개화파와 온건 개화파 사이의 대립이 깊어지면서 정변을 계획하게 된다. 당시 청나라와 프랑스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