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방통대 채권각론2024.10.111. 채권법상 급부, 반대급부, 위험의 개념과 적용 1.1. 급부, 반대급부, 위험의 개념 채권법상 급부란 계약의 목적이 되는 채무자의 행위를 의미하며, 반대급부는 급부에 대한 대가로서 채권자가 이행할 채무를 말한다. 주로 물권적 성질을 띠는 채무가 급부, 금전적 성질을 띠는 채무가 반대급부로 구분되나,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상황과 시점에 따라 금전도 급부로, 물권도 반대급부로 된다. 민법상 위험이란 유효하게 성립한 채권관계에 있어서 급부가 당사자 귀책 없이 불능이 된 경우, 반대급부의 불이익을 누가 부담할 것인가의 법정...2024.10.11
-
부동산 매매계약의 이행불능과 위험부담2024.10.091. 쌍무계약에서 위험부담 1.1. 급부, 반대급부의 개념 급부란 채권관계에 있어서 채권자의 청구에 의해 행해지는 채무자의 행위를 의미한다. 즉, 급부는 채권관계에서 채무자가 당연히 해야 할 작위 또는 부작위의 행위를 말한다. 채권관계에서 채무자가 부담하는 이러한 급부 의무에 대한 대가로 채권자가 제공하는 급부를 반대급부라고 한다. 반대급부는 쌍무계약에서 상대방의 급부에 대하여 행해지는 급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매매계약에서 매도인의 목적물 인도 의무가 급부이고, 매수인의 대금지급 의무가 반대급부이다. 이처럼 급부와 반대급부는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