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최치원의 추야우중2024.09.251. 당시와 한시 1.1. 당시 당나라 시의 특징 당시 당나라 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당나라 시는 중국 서정시의 최성기이자 인류 문학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유산이다. 육조 시대의 시풍을 계승하면서도, 당시대에는 상공업자와 농민의 굳건한 생활력 및 이민족과의 접촉으로 인한 세계관의 확대가 밑바탕이 되어 이전 시대의 불안정한 인간관과 절망적 인생관을 극복하고 적극적인 인생태도를 시의 골격으로 삼게 되었다. 당시 시는 초당(初唐), 성당(盛唐), 중당(中唐), 만당(晩唐)의 4시기로 구분되는데, 초당의 시는 남조 시풍의 계승성이 ...2024.09.25
-
시 감상평2024.10.311. 한국한문학의 이해 1.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1.1.1. 고체시 고체시(古體詩)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시의 양식으로, 근체시(近體詩)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고체시는 형식의 제약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다. 고체시에는 오언고시(五言古詩)와 칠언고시(七言古詩) 등이 있다. 고시라는 말은 육조 시대(六朝時代)에는 그 시대 이전의 고대의 시를 가리키는 것이었지만, 당대(唐代)에 이르러 근체시가 일어난 이후부터는 근체시에 대한 고대의 시, 즉 태고 때부터 수대(隋代)에 이르는 모든 시를 뜻하게 되었다. 고체시는...2024.10.31
-
동양문학의 이해2024.12.171. 동양문학의 이해 1.1. 한국의 정형시 한국의 정형시는 6세기경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향가에서 출발한다" 고려시대의 경기체가와 고려가요, 조선시대의 시조와 가사로 이어지며 발전했다" 다양한 형식의 정형시가가 존재했고 시의 형식이 점점 짧아졌으며, 가장 짧은 시 형식인 시조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정형시로 자리잡았다" 시조는 현재에도 꾸준히 창작되고 있어 한국의 정형시 전통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조는 중국의 근체시나 일본의 하이쿠에 비해 형식적 제약이 적은 편이다" 압운이나 사성과 관련된 규율이 없으며 시의 흐름과...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