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9개
-
해부학 근육계통2024.09.101. 서론 1.1. 해부학의 정의와 범위 해부학은 생명체의 구조, 형태 및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부학의 범위는 사람 몸을 대상으로 하는 맨눈해부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현미경해부학, 그리고 수정란에서부터 개체의 발생과 성장과정을 다루는 발생학(태생학)의 3분야로 구분된다. 맨눈해부학은 나이프, 핀셋, 가위 등을 사용하여 인체를 구성하는 장기의 위치, 형태, 구조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다시 국소해부학과 계통해부학으로 나뉘는데, 국소해부학은 사람 몸의 특정 부위를 연구하고, 계통해부학은 사람 몸의 계통에 따라...2024.09.10
-
얼굴뼈2024.09.271. 뼈와 근육 1.1. 뼈대계통 1.1.1. 뼈의 기능 뼈의 기능은 지지(support), 운동(movement), 보호(protection), 무기물 저장(storage of minerals), 지방의 저장(storage of fat), 혈액세포(혈구, blood cell) 형성 등이다. 뼈는 연부조직(soft tissue)을 지지해주는 견고한 구조물이다. 또한 뼈대는 근육들이 부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 준다. 뼈대는 심장과 허파 같은 내부 장기들을 보호한다. 뼈대는 칼슘과 인과 같은 무기물들을 저장해 필요에 따라 신체...2024.09.27
-
뼈대계통 문제2024.10.011. 골격, 관절, 근육, 호흡 1.1. 뼈대계통 1.1.1. 뼈의 기능 인간의 뼈는 206개로 형성되며, 뼈조직, 뼈막, 뼈속질로 구성되어 있다. 뼈는 몸전체와 중요기관을 보호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지지작용(Support)이다. 뼈는 몸통과 사지를 지지하여 직립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근육과 관절의 기능을 보조한다. 둘째, 운동작용(Movement)이다. 뼈대와 근육의 조화로운 작용으로 인해 관절 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몸의 이동과 활동이 구현된다. 셋째, 보호작용(Protection)이다. 두개골...2024.10.01
-
트리거 포인트2024.10.021. 트리거 포인트 1.1. 트리거 포인트의 의미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는 근육에 통증을 일으키는 부분으로 "통증유발점"이라고도 하며 압통점이라는 의미이다. 근육 내부에 존재하는 작고 과민한 부분으로, 이 부분을 압박하면 해당 부위뿐만 아니라 주변 근육이나 관절 등에도 통증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단순한 압통점과는 구분되는데, 압통점은 압박했을 때만 통증이 발생하는 반면 트리거 포인트는 자발적인 통증이나 연관통을 동반한다. 트리거 포인트는 근육 내에 존재하는 긴장된 근섬유다발로, 이 부분이 지속적으로 수축...2024.10.02
-
호흡근육2024.09.221. 호흡기계 근육 1.1. 들숨과 날숨 근육 들숨과 날숨 근육은 호흡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들숨 근육은 흡기 동안 수축하여 흉곽을 확장시키고 폐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요 들숨 근육에는 횡격막, 외늑간근, 그리고 보조 호흡근인 목갈비근, 위등세모근, 목빗근 등이 있다. 횡격막은 호흡의 주된 근육으로, 수축하면 편평해지면서 복부로 내려가 흉강을 확장시켜 공기가 폐 안으로 들어오게 한다. 외늑간근은 갈비뼈를 위쪽으로 당겨 들숨을 돕는다. 목갈비근, 위등세모근, 목빗근 등의 보조 호흡근은 갈비뼈와 목 부위의 움직임을...2024.09.22
-
근골격계 장애 대상자 간호2024.10.021. 근골격계의 해부학과 생리학 1.1. 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골격계는 206개의 뼈로 구성된 신체의 틀을 이루는 중요한 계통이다. 골격계는 신체의 전반적인 형태와 구조를 갖추어 주며 연조직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골격계는 적혈구 생성, 무기질 저장 등의 생리적 기능도 수행한다. 골격계는 크게 체간골격과 체지골격으로 나뉜다. 체간골격은 척추, 늑골, 흉골 등 몸통을 이루는 뼈들로 구성되며, 체지골격은 상지와 하지를 구성하는 뼈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골격계는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모양과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그 ...2024.10.02
-
클리니컬 마사지2024.09.141. 스포츠마사지의 체열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1.1. 연구목적 및 가설 이 연구는 스포츠마사지의 효능은 기존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이를 응용한 물리치료를 현대인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마사지들과 달리 스포츠마사지는 체열과 관련된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서 연구문제를 인식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고정된 자세로 오랜시간 앉아 컴퓨터를 다루는 사무직 직장인들에게 스포츠마사지를 적용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사무직 직장인을 대상으로 스마트마사지 요법이 체열과 피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2024.09.14
-
인체구조와 기능 해부생리학2024.10.111. 인체의 구조와 기능 1.1. 세포의 구조와 기능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세포이다. 세포는 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인체를 이루는 모든 조직과 기관을 구성하고 있다. 세포는 크게 세포막, 세포질, 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막은 세포를 외부환경과 구분하고 세포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막은 인지질, 콜레스테롤,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물질의 출입을 조절한다. 세포질은 세포막과 핵 사이의 공간으로, 세포소기관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물질대사 과정이 일어난다. 핵은 세포의 유전정...2024.10.11
-
생리학2024.10.111. 서론 1.1. 생리학의 개념 생리학(physiology)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학은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인체의 각 기관과 조직이 어떻게 작용하여 생명을 유지하는지,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체 전체가 어떻게 조절되고 통합되는지를 밝혀내는 것이 주된 연구 대상이다. 생리학은 생명체의 구조-기능 관계를 규명하여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운동 및 스포츠 과학, ...2024.10.11
-
해부학 간호 중간 시험범위 문제 정리2024.10.111. 신체의 구조와 기능 1.1. 해부학적 자세와 구조 단계 인체를 이루는 기관과 계통은 복잡한 구조와 체계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해부학적 자세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되는 중립적인 자세이다. 해부학적 자세에서 우리 몸은 정중면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손바닥은 앞을 향하고 발가락도 앞을 향하게 된다. 해부학적 자세에서 우리 몸은 크게 축성 골격(axial skeleton)과 체간성 골격(appendicular skeleton)으로 구분된다. 축성 골격은 두개골, 척추, 늑...2024.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