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무산소성 운동 체계2024.09.131. 운동 중 에너지 대사 1.1. ATP 에너지 대사 1.1.1. ATP의 정의와 구조 ATP(adenosine triphosphate)는 생명체 내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 화합물이다. ATP는 아데노신(adenosine)에 3개의 인산기(triphosphate)가 결합된 유기화합물로, 모든 생명체 내에 존재하며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ATP 분자의 구조는 아데닌(adenine)이라는 질소 함유 방향족 화합물과 리보스(ribose)라는 오탄당, 그리고 3개의 인산기(phosphate)로 구성되어 있...2024.09.13
-
열린사슬운동과 닫힌 사슬운동2024.10.071. 근수축의 기본 메커니즘 1.1. 근수축의 단위 1.1.1. 근섬유와 근원섬유 근섬유와 근원섬유는 근수축의 기본 단위이다. 근섬유는 단일 골격근세포로, 근육을 구성한다. 근섬유의 지름은 10~100㎛ 정도이며, 근수축의 단위인 근원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근원섬유의 지름은 약 1㎛로, 굵은 필라멘트와 가는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다. 굵은 필라멘트는 미오신 단백질로, 가는 필라멘트는 액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근원섬유의 배열과 구조가 근수축 메커니즘의 기본이 된다. 1.1.2. 굵은 필라멘트와 가는 필라멘트 굵...2024.10.07
-
생리학 중간 기말 고사 문제 및 필기본 간호학과 2학년 학점 A02024.10.111. 항상성과 물질 이동 1.1. 항상성과 음성 되먹임 기전 생물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내부의 생리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을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한다.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생물체는 자극에 반응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기전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음성 되먹임(negative feedback) 기전이다. 음성 되먹임 기전은 특정 변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이를 감지하고 조절하여 원래의 평형 상태로 되돌리는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어 혈당 농도가 높아지면 이를 감...2024.10.11
-
운동과 건강2024.10.141. 근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1.1. 근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방법 인체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빈도 등)에 대해 다양한 생리적 반응과 변화가 나타난다. 따라서 운동은 인체의 생리적 변화에 적응현상을 유도하는데 목표가 있으며 근 기능 향상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운동 유형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들 수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인위적으로 특정 근육부위에 반복적인 자극을 줌으로써 근육에서의 저항을 크게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근육의 생리적, 구조적 변화를 유발시키는 대표적인 운동 방법이다. 예를 들면, 운동 초기...2024.10.14
-
근육 수축기전2024.11.291. 근육의 구조와 기능 1.1. 근육의 분류 1.1.1. 골격근 골격근은 중배엽의 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조직으로, 인체 내에서 가장 크고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근육이다. 골격근은 몸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수의근으로, 우리의 의지에 따라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근육이다. 골격근은 체중의 약 40%를 차지하며, 근섬유, 근원섬유, 근필라멘트 등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골격근은 주로 뼈와 건에 연결되어 관절을 움직이고 몸의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골격근은 빠르게 수축하는 빠른연축근섬유와 느리게 수축하는 느린...2024.11.29
-
생리학 서술형 문제2024.12.111. 운동 생리학 1.1. 골격 내에서의 ATP 합성 과정 골격 내에서의 ATP 합성 과정은 기질수준 인산화와 화학삼투적 인산화 또는 산화적 인산화의 두 가지 주요 인산화 반응으로 이루어진다. 기질수준 인산화는 해당 과정에서 ATP가 합성되는 것처럼 고에너지 인산기가 다른 화합물에서 ADP 분자로 직접 전달되는 것으로, 고에너지 분자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ADP로 옮겨가는 것이다. 이는 수소 이온의 농도 기울기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ADP의 인산화를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고에너지 분자를 분해하여 얻은 에너지를 이용해 ...2024.12.11
-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2024.10.291. 근육의 구조와 기능 1.1. 근육의 구성 요소 1.1.1. 평활근 평활근은 인체 내장기관의 벽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불수의근의 일종이다. 평활근은 말 그대로 근육섬유가 매끈하게 늘어서 있어 모양새가 평평하다. 평활근은 횡문근과 달리 신경섬유에 의해 직접 자극되는 것이 아니라 호르몬이나 화학물질 자극에 의해 수축과 이완을 조절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평활근은 신체 내부 기관의 운동, 배설, 분비 등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평활근은 인체 내의 다양한 장기와 조직에서 발견되는데, 주요 분포 부위로는 ...2024.10.29
-
미토콘드리아2024.08.271.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 1.1.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미토콘드리아의 구조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로 크기나 모양이 세균과 유사하다"미토콘드리아는 자체의 DNA와 RNA, 리보솜을 가지고 있어 자신의 고유한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살아있는 세포를 시간에 따라 촬영하면 미토콘드리아는 매우 운동성이 좋은 소기관으로서, 끊임없이 모양과 위치를 바꾸는 것을 볼수 있다"."세포 안에 다량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간세포의 경우 1000~2000개 존재)는 세포골격의 미세소관과 결합하여 기다란 움직이는 사슬을 만들고 있다...2024.08.27
-
인체해부학 근골격계2025.01.241. 서론 인체해부학 분야 중에서도 근골격계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근골격계는 뼈, 관절, 근육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움직임과 자세를 담당하며, 열 생산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근골격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기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각 구성 요소의 특성 및 역할, 근골격계 질환 등을 살펴봄으로써 근골격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의학 및 보건 분야에서 근골격계의...2025.01.24
-
보디빌딩2024.09.101. 보디빌딩이란? 1.1. 정의 및 역사 보디빌딩은 트레이닝과 식단 조절을 통해 균형 있는 미적 근육을 가꾸고 이를 평가하는 스포츠를 말한다. 예전에는 보디빌딩이라는 말보다 육체미(肉體美)라는 말이 많이 쓰였지만 현재는 몸 만드는 운동이라는 의미로서는 거의 사장되었고 보디빌딩으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미국식 발음으로 "바디빌딩"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근육질의 아름다운 육체를 가꾼다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때부터 있어서 고대 레슬링 선수였던 밀로라는 사람은 돌이나 짐승같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행위로 몸을 만들었다고 한다....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