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한국침례교 사상사,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 구원2025.03.101. 한국침례교 사상사 1.1. 말콤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말콤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은 다음과 같다. 펜윅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 근처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회심 후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았다. 1893-1895년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선교활동을 하였다.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고 1906-1914년 최고직위인 감목을 역임하였으며 1935년 12월 6일 별세하였다. 펜윅의 어머니와 아도니람 저드슨 고든은 펜윅의 신앙생활과 신학 형성에 큰...2025.03.10
-
제4선교신학2025.03.141. 제4선교신학 1.1. 저자 소개: 말콤 펜윅 말콤 펜윙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의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고 독립선교사로 한국 함경도 원산에 정착하여 선교활동을 하였다. 1893-1895년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고,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여 1906-1914년 감목으로 활동하였다. 펜윅은 1935년 12월 6일에 별세하였다. 펜윅의 신학 형성에는 그의 어머니의 그리스도 중심적인 경건과 나이아가라 사경회, 그리고 아도니람 저드...2025.03.14
-
세계 복음주의 지형도 요약 및 장단점 분석2024.10.231. 세계 복음주의의 역사와 현황 1.1. 복음주의의 정의와 발전 복음주의는 2,000년간의 기독교 역사 속에서 일어난 사건을 배경으로 탄생한 운동이자 사조이기 때문에, 정의 또한 여러 역사 배경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내려졌다. 복음주의는 영어로 'evangelicalism'이라고 표현한다. 이 용의의 씨앗은 그리스어 명사 'ε?αγγ?λιον'이다. 이 단어의 용례에 따르면 복음주의는 복음을 강조하고 중심에 두는 신앙 유형 및 사조를 말한다. 이 단어는 그 전에도 간헐적으로 사용되었지만, 기독교 역사 속에서 이 표현을 가장 ...2024.10.23
-
남침례교 보수파가 가진 문제의식과 교단 장악 전략과 과정2025.04.291. 남침례교 보수파가 가진 문제의식과 교단 장악 전략과 과정 1.1. 한국침례교사상사 요약정리 및 서평 1.1.1.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펜윉은 1863년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마크햄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회심 후 나이아가라 사경회에서 외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았다. 이후 독립선교사로 한국 함경도 원산에 정착하여 선교활동을 하였다. 1893-1895년까지 캐나다로 갔다가 1896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펜윽은 1906년 10월 6일 대한기독교회를 발족하고 최고직위인 감목을 1906-1914까지 역임하였다. 1935년 ...2025.04.29
-
장로교회사2025.05.221. 장로교회사 1.1. 초대교회와 장로정치 초대교회에서 교회정치의 여러 가지 형태들이 나타났다. 로마천주교회와 루터파 교회는 성경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전통과 이성을 신앙과 생활의 권위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침례교회와 장로교회는 이성의 불완전함을 주장하면서 성경만을 신앙의 최종적인 권위로 삼았다. 또한 이들은 성경을 보는 시각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교황정치는 교회의 타율적 운영, 교직에서의 계급구조, 개교회주의를 부정하고 성경적인 교회 정치 체제인 장로정치를 추구하였다. 장로정치에서는 모든 성도가 하나님 앞에 평등하며 교직자 ...2025.05.22
-
댄 테일러의 신연합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 침례교회에 미치는 영향2025.06.261. 들어가는 말 "인류에게 있어 가장 큰 비극은 지나간 역사에서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한다는데 있다."라는 Arnold Joseph Toynbee(아놀드 토인비)의 명언이 있다. 박형룡은 일부 현대 신학자들에게 있어서 '극단적 근본주의자', '교회 분열을 일으킨 어제의 인물'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입장에서 그의 신학을 폄하만 한다면, 신학적 체계가 잡히지 않은 과거 혼란스런 한국 상황 속에서 기독교의 정체성를 지키기 위해, 신학도들 양성을 위해 투쟁한 역사적 인물은 보기 어려울 것이다. 세상은 시대가 지나감에 따라 ...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