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산업간호 사례2024.09.121. 지역사회간호 사례 1.1. 사업장 일반 현황 사업장명 ㈜페이퍼는 화장지 원지를 생산하는 제조업 사업장이다. 총 근로자 수는 98명으로 남성 94명, 여성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로자들은 3조 2교대로 근무하고 있으며, 작업 과정에서 소음, 반복 작업, 요통, 아황산염, 염소 등의 유해요인에 노출되고 있다. 주요 작업 공정은 팔파(해리) -> 조성 -> 초지 -> 출고 순으로 이루어진다. 1.2. 재해자 및 직업성 질환자 현황 재해자 및 직업성 질환자 현황은 사업장의 안전 및 보건 관리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2024.09.12
-
운동건강관리산업2024.10.071.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1.1. 근로자 사업장 내 운동관리 근로자 사업장 내 운동관리는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주요 내용 중 하나이다. 근로자들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사업장의 산업재해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운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의 경우 같은 공간에 장시간 서서 작업을 하며, 지속적인 단순반복업무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다. 2018년도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통계에 의하면...2024.10.07
-
보건소간호사 인터뷰2024.11.011. 지역사회 간호사의 종류 및 역할 1.1. 지역사회 간호의 개념 지역사회 간호의 개념은 시대, 환경, 지역 그리고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기능의 변화에 따라 발전하였다. 지역사회간호사, 건강관리 서비스제공자 및 대상자는 맡은 역할, 기능에 따라 지역사회간호의 정의를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다. 지역사회간호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에서 대상자의 최고 수준의 안녕을 목적으로 계약을 맺고 수행하는 모든 활동"이라고 한다.(Janice 등, 2003) 또한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수행되는 간호영역으로 "대상자의 건강을 유지·증진하는 ...2024.11.01
-
산업보건 간호과정 직업성 폐질환2024.08.241. 서론 1.1. 유해 물질과 직업 질환의 중요성 유해 물질과 직업 질환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근로자들이 다양한 유해 물질에 노출되고 이로 인한 직업성 질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해 물질은 근로자의 건강을 해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요인들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분진, 소음, 중금속, 유기용제, 방사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유해 물질에 장기간 노출되면 진폐증, 소음성 난청, 중금속 중독, 유기용제 중독 등 다양한 직업성 질환이 발생할 수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