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남해선생의 주장2024.09.221. 동양의 개념과 변화 1.1. 중국의 동양 개념 중국의 동양 개념은 지역과 시간에 따라 변화해왔다. 송원시대에 중국인들은 남해로의 항해가 활발했는데, 이 시기 동양이란 용어는 현재의 인도네시아 자바 섬과 필리핀 방면을 의미했다. 반면 서양은 남인도 연안을 가리켰다. 명나라 시기에는 정화의 항해로 중국인의 항해 범위가 널리 확대되었지만, 명 중기의 해금정책으로 인해 동양이란 말의 사용이 일시적으로 사라졌다. 1567년 해금 해제 이후에는 중국인의 남해 항해가 다시 활발해졌고, 동서양고에서는 동양을 중국의 해항에서 대만, 필리핀,...2024.09.22
-
일제의 식민통치2024.09.231. 서론 '일제 식민통치의 성격과 영향'은 일제강점기 한국 역사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주제이다. 해방 이후 역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을 극복하는 것이 주요 과제 중 하나였는데, 이에 따라 1970년대에는 '내재적 발전론'이 주류로 등장하였다. 이후 1980년대 후반 경제사학계에서는 '식민지 수탈론'을 비판하며 '식민지 근대화론'을 제기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전개된 '식민지 근대화 논쟁'은 양측의 시각이 확연히 다른 모습을 드러내었다. 양측의 학자들은 일제의 통치가 조선 민중의 의사에 반해 강제적으로 행해지고, ...2024.09.23
-
러시아 사회주의 태동의 배경2024.09.241. 러시아 사회주의의 태동과 몰락 1.1. 러시아의 사회주의 태동 1.1.1. 19세기 말 ~ 20세기 초의 시대적 배경 러시아 제국의 사회주의 태동은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서부터 시작된다. 당시 러시아는 전제군주제를 바탕으로 근대화 개혁을 추진하면서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문가 계층과 중산층이 부상했지만, 농민과 노동자들은 여전히 불만을 표출했고 자유주의를 지지하는 학생들과 지식인들은 전제정치에 대한 개혁을 요구했다. 또한 러·일 전쟁의 패배로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했는데, 이러한 ...2024.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