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vitapex2024.09.161. 근관치료의 개요 1.1. 근관치료의 정의 근관치료는 치수가 감염되어 괴사된 치아에서 부패한 치수와 세균을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고 근관 내부를 밀폐함으로써 근관 내부와 외부조직과의 교통을 차단하는 치료 과정이다. 이를 통해 치아를 건강한 상태로 수복하고 저작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근관치료의 목적이다. 1.2. 근관치료의 목적 근관치료의 목적은 치료받는 치아를 건강한 상태에서 저작계의 형태와 기능을 수복하는 것이다. 치아 우식증 등의 원인으로 세균이 치수 내부로 침투하여 세균 감염이 일어나 치수 질환이 발생하고 세균이...2024.09.16
-
구강조직발생학 대한나래출판사2024.09.131. 구강악안면영역의 종양 1.1. 서론 종양은 주위조직과의 조화 없이 자율성을 지닌 조직으로 비정상적인 과다 증식을 하는 병변이며 신체의 모든 부분에서 발생한다. 구강, 입술, 뺨, 구강저, 구개, 혀 및 악골 등의 상피조직이나 결체조직에서 유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서론에서는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주요 특성 및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1.2.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 1.2.1. 양성 종양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2024.09.13
-
치은절제술 술식과 기구2024.10.161. 치아 편측 절제술 (Tooth Hemisection) 1.1. 편측절제술 (Hemisection)의 정의와 목적 편측절제술(Hemisection)은 다근치인 구치부에서 신경치료나 치주치료로도 회복이 불가능한 한쪽의 치근과 그 위의 치관 부위를 제거하는 외과적인 술식이다. 이는 치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시행되며, 남겨진 건강한 부위의 치근을 이용하여 보철물로 수복할 수 있다. 즉, 구치부가 파절되었거나 일부 치근만 손상된 경우에도 건강한 치근을 보존하여 발치를 대신할 수 있는 술식이라고 할 수 있다. 1.2. 편측절제술의 ...2024.10.16
-
단순발치 과정2024.10.241. 단순발치와 난발치의 과정 1.1. 단순발치 단순발치는 치아 발거 시 골을 제거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겸자 또는 기자만으로 치조와에서 발거하는 술식이다. 단순발치 시 사용되는 기구 및 재료로는 기본기구, 소독제(클로르헥시딘, 포비돈요오드제), 세정용 주사기, 생리식염수, 소독용 면구, 멸균거즈, 마취주사기, 주사침, 국소마취제, 외과용 큐렛, 발치겸자, 발치기자, 흡입관 등이 있다." 단순발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 계획을 성립한다. 둘째, 발치 전 해당 치아 주위를 청결하게 하여 2차 감염의...2024.10.24
-
편측절제술2024.10.261. 치아 편측 절제술 (Hemisection) 1.1. 정의 치아 편측 절제술(hemisection)이란 "hemi: 반, section: 자르다"라는 의미로, 근관치료 후에도 보존이 불가능한 치아의 치관과 치근을 모두 제거하여 치아의 수명을 연장하고자 하는 술식이다. 하악 대구치의 치관을 절단하여 치관의 반쪽과 그것을 지지하는 치근을 제거하거나, 양쪽 반을 모두 보존하여 2개의 소구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는 술식이다. 남아있는 치관과 치근의 일부는 치관 수복을 하거나 인접치와 함께 보철 수복을 하게 된다. 치아 편측 절제술은 ...2024.10.26
-
금관치료2024.09.061. 단일치 수복물 1.1. 종류 및 특징 1.1.1. 금속관 금속관은 금속으로 치관 전체를 피개하는 고정성 보철물이다. 주로 심미적 기대를 하지 않는 구치부 수복에 사용되며, 정밀한 주조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대부분 2개 이상의 순금속이 혼합된 합금 형태로 만들어진다. 임상에서 금(Au)이 함유된 금관은 "gold crown"이라 부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 "metal crown"이라고 한다. 금속관은 도재관에 비해 치질 삭제량이 적으며 강도가 높아 잘 파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경부의 적합도가 좋다. 하지만 심미...2024.09.06
-
근관 치료2024.08.261. 근관치료 1.1. 근관치료의 정의 근관치료란 치아 우식이 심해 치수까지 침범하였거나 사고로 인해 치수가 노출되었을 경우, 보철 치료 시 치수 노출의 위험이 있는 경우, 치아 감염으로 고름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 시행하는 치료 방법이다. 이는 근관 내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을 야기하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근관치료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수가 있는 곳을 완전히 개방시켜 치아 내에 있는 정상 또는 병적인 치수 조직을 완전히 제거한다. 둘째, 근관을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확대하여 남아있던 치수...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