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만성신부전 간호과정2024.11.071. 서론 최근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대략 13%, 즉 7~8명 당 1명은 만성신부전을 가지고 있다. 만성신부전의 위험인자로는 당뇨, 고혈압, 비만, 고령 등이 있으며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이, 고혈압 환자 10명 중 2명이 만성신부전에 걸리는 것으로 보고되어진다. 따라서 당뇨병과 고혈압 환자는 만성신부전의 예비군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신부전 환자는 지금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생각되어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2. 만성 신부전 2.1. 정의 만성 신부전은 콩팥...2024.11.07
-
비사용증후군 간호과정2024.09.031. 간호사정 1.1. 주관적 자료 "이쪽 다리가 영 힘이 없어." 라고 대상자가 호소하였으며, "오른쪽이 전부 고장났어. 걷기도 힘들고 팔이 잘 안 올라가."라고 말하며 우측 편마비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였다."제 아내가 음식을 삼키기 힘들어하는데 간호사 선생님이 좀 봐주세요."라고 보호자가 말하였다. 대상자는 뇌출혈 후 연하장애가 있어 가루약으로 복용 중임을 알 수 있다. 1.2.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집에서 일상생활 하던 중 갑자기 Rt. weakness, dizziness, mild dysarthria, Rt. facial...2024.09.03
-
spinal cord injury2025.03.031. 서론 1.1. 척수손상의 정의 척수는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의 일부이다. 척수손상은 척주의 외상이나 관통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척수의 손상 기전에는 과다신전, 과다굴곡, 중심축 과부하, 척수의 관통상이 포함된다. 척수손상으로 인해 신경인성 쇼크, 출혈,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등의 이차손상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이차적 손상은 일차적 손상을 악화시키고 높은 사망률을 초래할 수 있다. 1.2. 척수손상의 원인 및 발생 현황 척수손상은 주로 외부의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전체 척수손상 사례 중 약 70%가 외상에 의해 나타난다. 특...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