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개
-
칼빈의 성화론2024.09.17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성화론의 연구에 있어서 칼빈을 선택할 만한 이유는 네 가지로 고찰해 볼 수 있다. 첫째, 성경의 권위가 점차 약해져 가고 있는 현재 우리 시대를 바라봄에 있어서, 칼빈이 성경적인 기초 위에 교회를 개혁했다는 것은 큰 도전을 주기 때문이다. 둘째, 그가 교리와 삶의 일치를 강조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을 통제하는 어떤 규범도 거절하는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셋째, 칼빈이 차가운 정통주의와 열광적인 오순절...2024.09.17
-
칭의론2024.11.261.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론 1.1. 배경 조나단 에드워즈(1703-1758)가 태어나 활동하던 시기는 이미 개혁파 정통주의가 견고히 자리매김을 한 이후였다. 에드워즈는 프란시스 투레틴으로부터 신학의 정교함을 배웠고, 윌리암 에임스로부터 교리의 실천성을 배웠다. 즉, 에드워즈는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 내용과 방법론을 모두 물려받았다. 에드워즈가 복음을 방어하고 전파하는 사명에 있어서 칼빈과 정통주의 모두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의 설교의 명쾌함과 힘의 진정한 원천은 그의 신학, 즉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서 드러나는 ...2024.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