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CRE2024.10.07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VRE) 1.1. 정의 및 개요 장알균(Enterococcus)은 사람들의 입안, 위장관, 질, 요도에 정상적으로 상주하고 있는 세균이다. 장알균은 요로감염, 복강내 감염, 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골관절 감염, 감염심내막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장알균 중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흔한 세균은 Enterococcus f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이다. 장알균의 치료에는 페니실린(penicillin)이나 암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고 이러한 약제에...2024.10.07
-
병원성미생물관리2024.10.301. 의료관련 감염 1.1. 의료관련감염의 정의 및 특징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 hospital-acquired infection)이란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혹은 외과 수술환자의 경우 퇴원 후 30일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환자뿐 아니라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endogenous) 감염과 외인성(exogenous) 감염으로 구분된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병원체에 의...2024.10.30
-
성인간호학 EICU 패혈증 케이스 연구2024.11.121. 서론 1.1. 대상자 선정 이유 대상자를 선정한 이유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대상자로서 패혈증(sepsis)에 대한 간호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함이다. 중환자실은 전신관리를 필요로 하는 위독한 급성 기능부전이 있으나 회복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수용하여 24시간 체제로 강력하면서도 집중적으로 치료간호를 하는 병동이다. 대상자인 김OO 님은 sepsis unspecified 와 같은 진단을 받고 2019년 08월 24일 mental state가 drowsy한 상태로 입원하였다. 따라서 이 환자의 상태가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를 ...2024.11.12
-
폐렴 아동 간호2024.11.211. 대엽성 폐렴 사례 연구 1.1. 아동대상자 소개 강00은 12세 남자 아동으로, 2006년 12월에 태어났다. 아동은 Lobar pneumonia 진단을 받아 2019년 10월 25일부터 입원치료를 받았다. 입원 4일 전부터 기침, 가래, 발열이 있었으며, 기운 없이 누워있다가 입원 1일 전에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게 되었다. 재원 중 항생제 치료와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으며, 입원 28일부터 기침과 가래가 호전되고 열도 내려가 30일에 퇴원하였다. 1.2.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2.1.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2024.11.21
-
성인간호 실습 감염성 심내막염 케이스 분석2025.03.181. 서론 심내막염은 보통 세균 감염으로 인해 심장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막(심내막)이나 심장 판막에 염증성 변화가 발생하는 질병이다. 일상적 환경, 치과 치료, 수술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세균이 혈액 속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건강한 사람의 경우 대부분 곧바로 제거되어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심장 판막에 병이 있거나 인공 판막 또는 선천적으로 심장구조에 이상이 있는 경우 혈액의 흐름이 불규칙하여 심장내막에 상처가 생기는 경우가 많고 혈액 내 세균 감염이 있을 경우 이러한 세균이 심장내막, 판막에 쉽게 부착되어 감...2025.03.18
-
임상미생물학2025.03.041. 서론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6.5% NaCl BHI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test를 통해 Genus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구별하는 것이다. Enterococcus faecalis는 Enterococcus 중에서 80~90%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균이며, Streptococcus viridans는 알파-hemolysis pattern을 나타내는 사슬알균이다. 6.5% NaCl BHI 시험은 Enterococcus 감별에 사용되며, St...2025.03.04
-
배양검사 종류 및 판독2025.03.211. 실험목적과 배경 1.1. 배양검사의 필요성 배양검사의 필요성은 세균과 진균에 의한 균혈증이 매우 위중한 감염증이기 때문이다. 매년 미국에서 약 20만 명 정도의 균혈증 환자가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치사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혈액에서 병원체를 신속하게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판단하는 것이 감염증의 진단과 예후 판단, 그리고 항생제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매우 중요하다. 1.2. 혈액배양검사의 목적 혈액배양검사의 목적은 패혈증 또는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 전신 감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에서 미생물을 발견하고 동정...2025.03.21
-
배양검사 종류 및 판독2025.03.211. 배양검사 종류 및 판독 1.1. 혈액배양검사 1.1.1. 필요성 균혈증은 미국에서 해마다 20만 명 정도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치사율이 매우 높은 감염증이다. 이와 같이 균혈증은 매우 위중한 침습성 감염증이기 때문에 혈액으로부터 병원체를 신속하게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감염증의 진단과 예후판단 및 임상 현장에서 항생제 치료방침을 세우는데 매우 중요하다. 1.1.2. 목적 혈액배양검사는 패혈증 또는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 있어 전신 감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에서 미생물을 발견하고 동정하기 위...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