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한국어교원 교재 및 문형선정2025.01.061. 문형 선정 및 활용 1.1. 문형 정보 1.1.1. 문형 선택: -(으)ㄹ까요? -(으)ㄹ까요?는 동사와 형용사에 결합하여 미래의 상황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청자의 의견을 묻고자 할 때 사용하는 문형이다"". 동사의 경우 어간에 받침이 있으면 '-을까'를,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으로 끝나면 '-ㄹ까'를 붙여 활용한다"". 또한 '이다, 아니다'와 결합할 때는 '-ㄹ까'를 사용하는데, 명사 뒤에 '이-'가 오는 경우에는 '명사+-ㄹ까'로 쓰기도 한다"". 불규칙 동사의 경우에도 '-ㄹ까'로 활용한다"". 부정문은 '-을까...2025.01.06
-
나를 움직인 말 한마디2024.10.111. 나를 움직인 말 한마디 1.1. 서론 - 나를 움직인 말 한마디의 영향 '나를 움직인 말 한마디'라는 주제의 레포트에서 서론 부분은 다음과 같다. 지금 생각해보는 과거 나의 모습을 통해 한마디의 말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볼 수 있다. 중학교 시절의 나는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으며 친구들과 부모님과의 갈등을 겪었다. 이 시기 나는 내가 많은 것을 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 아는 것도 없고 바른 생각을 하지 못하는 어린 아이였다. 친구들에게 더 관심을 가지며 부모님과의 대화를 잃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을 ...2024.10.11
-
고 있다 교안2025.04.241. 서론 1.1.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고 있다'의 의미와 교수 방안 '-고 있다'는 동사의 어간에 '-고 있다'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문법 표현이다. '-고 있다'는 동작의 진행과 상태를 나타내며, 한국어 교육에서 초급 단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문법 형태이다. '-고 있다'는 동작이나 행위가 현재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책을 읽고 있다", "밥을 먹고 있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옷을 입고 있다", "안경을 쓰고 있다"와 같이 표현할 수...2025.04.24
-
용언의 불규칙 활용2025.06.211. 서론 1.1. 용언의 규칙 및 불규칙 활용에 대한 개요 우리가 용언의 불규칙 활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용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용언은 문장에서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와 형용사를 포함하는 품사이다. 이러한 용언은 문장 내에서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철수가 수박을 먹는다."라는 문장에서 '먹다'는 동사이고, "집이 깨끗하다."라는 문장에서 '깨끗하다'는 형용사이다. 용언은 문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즉,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과 어미가 변화하여 문장의 의미와 문법적 기능...2025.06.21